<뉴스토마토-미디어토마토>
전국 2003명 / 오차범위 ±2.2%포인트 / 응답률 6.4%
[대법원 선고 납득 여부]
대법원 선고 납득하기 어렵다 52.5%
대법원 선고 납득할 만하다 44.6%
[이재명 대선 출마 여부]
이재명 대선 출마 강행해야 한다 53.2%
이재명 대선 출마 강행해선 안 된다 43.9%
[한덕수 대선 출마 찬반]
한덕수 대선 출마 찬성 32.8%
한덕수 대선 출마 반대 61.3%
[국민의힘 후보·한덕수 단일화 찬반]
단일화 찬성 41.6%
단일화 반대 44.3%
[6·3 대선 성격]
윤석열정부·계엄 옹호 세력 심판 54.0%
제1야당·이재명 후보 심판 31.5%
이외 다른 성격 10.3%
[정당 지지도]
민주당 46.4%(2.8%↑)
국민의힘 35.9%(2.9%↓)
개혁신당 2.9%(3.2%↓)
조국혁신당 2.6%(0.1%↑)
진보당 1.0%(0.1%↑)
그 외 다른 정당 2.3%(0.1%↓)
없음 8.5%(0.4%↑)
잘 모름 0.4%(-)
[뉴스토마토 박주용 기자] 국민 과반은 대법원이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한 데 대해 "납득하기 어렵다"는 평가를 내렸습니다. 대법원으로부터 파기환송 선고를 받은 이 후보의 대선 출마 여부에 대해서도 절반 이상이 "출마를 강행해야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 후보의 사법리스크가 다시 부상했음에도 대선 민심엔 큰 영향이 없는 분위기입니다. 대법원의 파기환송에도 오히려 민주당의 지지율이 오르기도 했습니다.
7일 공표된 <미디어토마토> 163차 정기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법원이 지난 1일 이재명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한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52.5%는 "대법원의 선고를 납득하기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44.6%는 "대법원의 선고를 납득할 만하다"고 했습니다. '잘 모르겠다'며 응답을 유보한 층은 2.9%였습니다.
이번 조사는 <뉴스토마토> 의뢰로 지난 3일부터 5일까지 사흘간 만 18세 이상 전국 성인남녀 200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포인트입니다. ARS(RDD) 무선전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6.4%로 집계됐습니다. 본 조사의 가중배율은 0.94~1.15입니다. 이번 조사는 정치 성향 문항을 '적극적 보수', '다소 보수', '중도', '다소 진보', '적극적 진보'로 나눠 보수층과 진보층을 보다 세분화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중도층 57.4% "납득하기 어렵다"
앞서 대법원은 지난 1일 이재명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을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 후보의 선거법 위반 사건은 서울고법의 파기환송심과 대법원의 재상고심을 거쳐 최종 선고가 확정될 전망입니다. 다음 달 3일 대선 전까지 판결이 확정될 가능성은 희박해 이 후보의 대선 출마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선 본선을 앞두고 이 후보의 사법 리스크가 다시 부각됐습니다.
조사 결과를 연령별로 보면 대법원의 파기환송에 대해 40대와 50대에선 "대법원의 선고가 납득하기 어렵다"는 응답이, 70세 이상에선 "대법원의 선고가 납득할 만하다"는 응답이 높았습니다. 20대와 30대에선 "납득할 만하다"는 응답이 절반가량 됐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과 충청, 호남에서 절반 이상이 대법원의 파기환송에 대해 "납득하기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보수 진영의 핵심 지지 기반인 영남에선 절반 이상이 "납득할 만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정치 성향별로 보면 민심의 풍향계로 읽히는 중도층에서도 절반 이상이 대법원의 파기환송 선고를 부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중도층 '납득하기 어렵다' 57.4% 대 '납득할 만하다' 39.1%였습니다. 보수층 '납득할 만하다' 57.2% 대 '납득하기 어렵다' 40.0%, 진보층 '납득하기 어렵다' 63.3% 대 '납득할 만하다' 34.0%로, 진영별로 대법원의 파기환송 선고에 대한 평가가 엇갈렸습니다. 다만 보수층에서 '납득하기 어렵다'는 응답이 40%로 나오면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민주당 지지층에선 '납득하기 어렵다' 93.4% 대 '납득할 만하다' 4.9%로, 90% 이상이 대법원의 파기환송에 부정적이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중도층 58.4% "이재명 출마 강행해야"
또 국민 절반 이상이 대법원으로부터 유죄 취지의 파기환송 선고를 받은 이재명 후보의 출마 여부에 대해 "강행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습니다.
'대법원으로부터 유죄 취지의 파기환송 선고를 받은 이재명 후보의 대선 출마 여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53.2%는 "출마를 강행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43.9%는 "이재명 후보가 대선 출마를 강행해선 안 된다"고 응답했습니다. '잘 모르겠다'며 응답을 유보한 층은 2.8%였습니다.
앞서 이재명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한 대법원의 파기환송 선고가 나온 이후 국민의힘에선 이 후보의 후보직 사퇴를 촉구하면서 민주당을 향해 후보 교체를 요구했습니다. 반면 민주당에선 이 후보가 대선에 완주할 것임을 강조하면서 대법원의 파기환송 논란과 관련해 정면돌파에 나섰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와 50대에선 이재명 후보가 대선 출마를 강행해야 한다는 응답이, 70세 이상에선 이 후보의 대선 출마를 반대했습니다. 다른 연령대에 비해 비교적 정치 성향이 옅은 20대에선 '출마 안 돼' 51.9% 대 '출마 강행해야' 45.5%였습니다. 30대에선 '출마 강행해야' 48.3% 대 '출마 안 돼' 47.4%로 팽팽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과 충청, 호남 등에선 이 후보가 "대선 출마를 강행해야 한다"는 응답이 절반 이상됐습니다. 반대로 영남에선 이 후보의 대선 출마를 반대한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습니다.
중도층에선 이 후보가 "대선 출마를 강행해야 한다"는 응답이 60%에 달했습니다. 중도층 '출마 강행해야' 58.4% 대 '출마 안 돼' 38.0%였습니다. 보수층 '출마 안 돼' 57.7% 대 '출마 강행해야' 39.8%, 진보층 '출마 강행해야' 64.8% 대 '출마 안 돼' 32.3%로, 진영별로 이 후보의 대선 출마에 대한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다만 보수층의 40% 가까이가 이 후보의 대선 출마에 찬성하며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민주당 지지층에선 '출마 강행해야' 95.9% 대 '출마 안 돼' 3.1%로, 이 후보의 대선 출마를 지지한 응답이 90%를 훌쩍 넘었습니다. 대법원의 파기환송에도 민주당 지지층의 이 후보에 대한 지지세가 견고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보수층마저 49.8% "한덕수 출마 반대"
이런 상황에서 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덕수 전 총리의 대선 출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61.3%는 "한 전 총리의 대선 출마에 반대한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32.8%는 "찬성한다"고 했습니다. '잘 모르겠다'며 응답을 유보한 층은 5.8%였습니다.
앞서 한 전 총리는 지난 1일 국무총리직에서 사퇴한 데 이어 2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습니다. 한 전 총리가 대선 출마를 선언하는 자리엔 친윤(친윤석열)계 핵심을 비롯해 국민의힘 현역 의원들이 대거 참석했습니다. 반면 민주당 등 야당에선 한 전 총리의 대선 출마와 관련 대통령 권한대행의 정치적 중립성과 책무를 방기했다는 비판이 잇따랐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70세 이상을 제외하고 모든 세대에서 한 전 총리의 대선 출마를 반대한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 보수 지지세가 강한 70세 이상조차 찬성 46.7% 대 반대 44.5%로, 한 전 총리의 대선 출마에 대한 찬반 응답이 팽팽했습니다.
지역별로도 수도권과 충청, 호남에서 한 전 총리의 대선 출마를 반대한다는 응답이 60%를 상회했습니다. 특히 보수 진영의 핵심 지지 기반인 영남에서조차 절반가량이 한 전 총리의 출마를 반대했습니다.
중도층에서도 한 전 총리의 대선 출마를 반대하는 응답이 60%를 상회하며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 중도층 찬성 26.0% 대 반대 67.3%였습니다. 보수층의 경우 찬성 44.0% 대 반대 49.8%로, 한 전 총리의 출마를 반대한다는 응답이 절반에 달했습니다.
국민의힘 지지층 찬성 71.6% 대 반대 20.8%로, 한 전 총리의 출마를 찬성한다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 반면 민주당 지지층에선 찬성 3.6% 대 반대 93.7%로, 국민의힘 지지층 응답과 확연히 다른 반응이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2030·서울 단일화 찬반 '팽팽’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한덕수 전 총리의 단일화에 대한 찬반 응답도 팽팽히 맞섰습니다.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한덕수 전 총리 간 후보 단일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44.3%는 "후보 단일화에 반대한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41.6%는 "단일화에 찬성한다"고 했습니다. '잘 모르겠다'며 응답을 유보한 층은 14.2%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해당 조사는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김문수 후보로 최종 결정되기 전인 3일부터 시작해 후보로 확정된 이후인 5일까지 진행했습니다.
대선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한덕수 전 총리의 후보 단일화 논의가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공보물 발주 등을 고려해 7일을 단일화 목표 시한으로 잡고 있지만 양측의 단일화 합의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특히 오는 11일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정한 대선 후보 등록 마감일입니다. 11일 전에 단일화가 성사돼야 어느 후보로 단일화하든 '기호 2번'을 사용할 수 있고, 국민의힘이 후보 등록 기탁금 등의 선거비용을 지원할 수 있는데요. 11일 전 양측이 단일화에 합의할지 주목됩니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와 50대에선 보수 진영의 후보 단일화에 대해 절반 이상이 반대했습니다. 40대 반면 70세 이상에선 절반 이상이 단일화에 찬성했습니다. 이 외 20대 찬성 44.4% 대 반대 40.1%, 30대 찬성 43.8% 대 반대 40.4%, 60대 찬성 43.6% 대 반대 45.3%로, 단일화에 대한 찬반 응답이 팽팽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보수 진영의 후보 단일화에 대해 경기·인천과 호남에선 반대한다는 응답이, 충청과 영남에선 찬성한다는 응답이 앞섰습니다. 이 외 서울 찬성 41.5% 대 반대 44.0%, 강원·제주 찬성 43.2% 대 반대 46.2%로, 찬반 응답이 팽팽했습니다.
중도층에선 절반가량이 보수 진영의 후보 단일화에 반대했습니다. 중도층 찬성 34.8% 대 반대 48.5%였습니다. 보수층 찬성 53.4% 대 반대 35.6%, 진보층 찬성 32.6% 대 반대 51.3%로, 진영별로 단일화에 대한 찬반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다만 보수 진영의 후보 단일화임에도 불구하고 보수층의 반대가 35.6%나 되는 것은 적지 않은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찬성 83.2% 대 반대 11.6%로, 80% 이상이 단일화에 찬성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중도층 56.6% "윤석열·계엄세력 심판"
국민 과반이 오는 6·3 대선 성격에 대해 "윤석열정부와 계엄 옹호 세력에 대한 심판 선거"라고 규정했습니다. '다가오는 6월3일 대통령선거를 어떤 성격의 선거로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54.0%는 "윤석열정부 및 계엄 옹호 세력에 대한 심판"이라고 답했습니다. 반면 31.5%는 "제1야당 및 이재명 후보에 대한 심판"이라고 했습니다. "이외 다른 성격의 선거"라는 응답은 10.3%였습니다. '잘 모르겠다'며 응답을 유보한 층은 4.1%였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에서 60대까진 이번 대선을 "윤석열정부와 계엄 옹호 세력에 대한 심판 선거"로 바라본 응답이 높았습니다. 이 외 20대 '윤석열·계엄 세력 심판' 43.6% 대 '제1야당·이재명 심판' 35.6%, 70세 이상 '제1야당·이재명 심판' 43.9% 대 '윤석열·계엄 세력 심판' 39.2%로 집계됐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과 충청, 호남 등에서 이번 대선을 "윤석열정부와 계엄 옹호 세력에 대한 심판 선거"라고 선택한 응답이 높았습니다. 보수 진영의 핵심 지지 기반인 대구·경북(TK) '제1야당·이재명 심판' 40.2% 대 '윤석열·계엄 세력 심판' 39.5%, 부산·울산·경남(PK) '윤석열·계엄 세력 심판' 45.1% 대 '제1야당·이재명 심판' 39.3%로 두 응답이 팽팽했습니다.
중도층에선 절반 이상이 이번 대선을 "윤석열정부와 계엄 옹호 세력에 대한 심판 선거"로 봤습니다. 중도층 '윤석열·계엄 세력 심판' 56.6% 대 '제1야당·이재명 심판' 28.9%였습니다. 보수층의 경우, '윤석열·계엄 세력 심판' 42.3% 대 '제1야당·이재명 심판' 40.4%로 두 응답이 팽팽했습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국민의힘 지지층 '제1야당·이재명 심판' 68.3% 대 '윤석열·계엄 세력 심판' 12.4%, 민주당 지지층 '윤석열·계엄 세력 심판' 91.6% 대 '제1야당·이재명 심판' 4.6%로, 이번 대선을 바라보는 시선이 확연히 달랐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파기환송에도 민주 지지율 '상승'
정당 지지율은 민주당 46.4%, 국민의힘 35.9%, 개혁신당 2.9%, 조국혁신당 2.6%, 진보당 1.0%로 조사됐습니다. '그 외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8.5%, '잘 모름' 0.4%였습니다.
민주당 지지율은 지난주와 비교해 2.8%포인트 상승한 46.4%를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국민의힘 지지율은 2.9%포인트 하락한 35.9%였습니다. 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에 10.5%포인트 차이로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습니다. 이재명 후보에 대한 대법원의 파기환송 선고에도 민주당의 지지율이 상승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민주당은 30대에서 50대까지, 국민의힘은 70세 이상에서 확실한 우위를 보였습니다. 이 외 20대 민주당 39.9% 대 국민의힘 39.7%, 60대 민주당 43.2% 대 국민의힘 42.2%로, 양당의 지지세가 팽팽했습니다.
지역별로 보면 민주당은 수도권과 호남에서, 국민의힘은 대구·경북에서 우세했습니다. 양당의 민심은 충청권에서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대전·충청·세종에서 지난주 대비 민주당 지지율은 11.1%포인트 상승한 반면, 국민의힘은 12.3%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중도층에선 민주당 50.0% 대 국민의힘 25.3%로, 민주당 지지율이 20%포인트 이상의 격차로 압도적 우위를 점했습니다. 보수층 국민의힘 50.6% 대 민주당 31.6%, 진보층 민주당 60.4% 대 국민의힘 25.9%로, 진영별로 지지 정당이 확연히 달랐습니다.
한편 이번 조사는 2025년 1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산출했고 셀가중을 적용했습니다. 그 밖의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나 서치통 홈페이지(www.searchtong.com)를 참조하면 됩니다.
박주용 기자 rukaoa@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