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규하 정책선임기자] "'작별하지 않는다' 초고를 다 쓰고서 택시를 탔는데 이 노래(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 널 사랑하는 거지)가 나오고 있었다. '어떻게 내가 어떻게 너를, 이후에 우리 바다처럼 깊은 사랑이 다 마를 때까지 기다리는 게 이별일 텐데'라는 가사가 전혀 다른 의미로 다가오면서 사연 있는 사람처럼 택시에서 저도 모르게 눈물을 흘렸던 기억이 있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가 어느 인터뷰를 통해 밝혔듯, 음악은 단순히 노래로 전달되는 것이 아닌 삶의 선율을 자극하는 촉매제다. 또 창조적인 일의 계기가 되는 기발한 자극제로서, 우리는 그것을 '영감'이라고 말한다.
시각적인 이미지뿐 아니라 바람 소리 같은 어떤 장면이 좋다거나 음악이 가진 정서가 있는데, 그 정서가 제 안의 것과 만나 '그래, 나 이것 쓰고 싶었어' 하고 문득 깨닫게 된다는 한강 작가의 말처럼.
지난해 6월16일 서울 올림픽공원 케이스포돔에서 열린 악뮤 10주년 기념 콘서트 모습. (사진=YG엔터테인먼트)
누군가에게 음악은 고립감과 불안, 소외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안식처가 되기도 한다. 가출한 열다섯 살 소년의 성장 이야기를 다룬 일본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해변의 카프카』에서 음악은 내디딜 곳 없는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