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종용 선임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농협중앙회에 대한 농협금융지주와 농협은행의 배당이 과도하다는 지적에 대해 "거위 알을 계속 먹느냐, 거위 배를 가르느냐의 문제"라며 금융 계열사의 수익성과 건전성을 훼손해선 안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원장은 19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은행장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 같이 밝혔습니다.
이 원장은 "농협이 농민들을 위한 조직이고 중앙회가 100% 대주주이기 때문에 배당 자체에 대해 당국이 개입할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과도한 배당으로 중장기적 성장 동력이 훼손되거나 수익 건전성이 위험에 빠지면서 감독 당국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농협중앙회의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농협금융과 농협은행은 지난해 농업지원사업비(농지비) 및 배당으로 대주주인 농협중앙회에 1조5000억원을 지급했습니다. 농지비는 농업과 농촌 진흥을 위한 재원으로, 농협 계열사가 농협중앙회에 명칭 사용료(브랜드 사용료) 명목으로 매년 납부하는 금액입니다.
농협은행의 경우 순이익의 절반가량을 농협중앙회에 결산 배당금으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농협은행은 지난해 1조807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으며, 이 중 8900억원을 배당금으로 책정했습니다.
금감원은 이달 초 농협금융 정기검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농협금융의 자본비율이 경쟁사 대비 최저 수준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중장기 자본관리계획 등을 고려하지 않고 매년 대주주인 중앙회에 거액의 배당 등을 지급하면서 자체 위기 대응 능력이 약화됐다고 진단했습니다.
이 원장은 "금감원과 농협이 지난 정기검사를 통해 긴밀하게 협의를 했고 지금도 중앙회뿐만 아니라 농협금융과도 협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9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은행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융감독원)
이종용 선임기자 yo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의중 금융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