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정해훈 기자] 물가 변동에서 임금 인상이 차지하는 비중이 코로나19 이전보다 이후가 커졌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1일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물가 상승에서 임금 상승이 차지하는 비중이 코로나19 직전 8.6%에서 코로나19 이후 10.0%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 분석 결과를 보면 임금이 1.0% 오르면 소비자물가는 0.6% 상승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소비자물가지수, 농산물과 석유류 제외 지수, 식료품과 에너지 제외 지수, 생활물가지수 모두 임금(명목임금)이 오르면 시차를 두고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코로나19 이후에는 물가가 임금 상승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물가 변동에 임금 상승이 차지하는 비중이 과거에는 7%~9%대를 유지했지만, 코로나19 발생 이후 10%까지 확대된 것으로 확인됐다.
한경연은 한국은행, 고용노동부, FRB 자료를 바탕으로 물가 변동(100)에 각 요인이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계량화해 측정하는 역사적 요인 분해 분석(Historical Decomposition)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시기별 임금 상승 충격이 물가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비중은 외환 위기 이전은 8.2%, 외환 위기 당시는 7.1%, 금융 위기 당시는 9.0%, 코로나19 이전 저성장·저물가 국면에는 8.6%, 코로나19 이후는 10.0%였다.
지난 19일 오후 서울시내의 한 마트에서 소비자들이 물건을 고르고 있다. (사진=뉴시스)
또 이번 한경연 분석에 따르면 임금이 1.0% 상승하면 생산이 0.8%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의 지난 2016년 대비 2021년 임금 상승률은 주요 5개국(한국, 미국, 일본, 독일, 영국) 중 미국 다음으로 높은 10.53%를 기록했다. 반대로 GDP 규모와 노동생산성은 한국이 주요 5개국 중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급속한 임금 인상은 인플레이션을 심화하고, 이는 생산 감소로 이어져 경제에 부담이 되므로 경제 규모와 생산 수준에 맞게 임금 인상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지난 5년간 경제 규모나 노동생산성에 비해 임금이 빠르게 상승했다"며 "노동생산성이 뒷받침되지 않은 급격한 임금 인상은 생산 감소를 초래하고, 궁극적으로 일자리 감소와 임금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경제 규모와 생산 수준에 맞는 임금 수준과 인상률이 책정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해훈 기자 ewigju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