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곳 잃은 유동성, 서울 오피스텔에
저금리, 주택 규제에 가격 반등…임대수익률은 하락 우려
2019-10-14 14:25:39 2019-10-14 14:25:39
[뉴스토마토 김응열 기자] 수익률이 5%가 채 안되는 서울 오피스텔에 자금이 흘러 들어가고 있다. 올해 내내 하락하던 매매가격 지수가 8월부터 반등해 두 달 연속 상승곡선을 그렸다. 주택 규제가 이어지는 가운데 저금리 기조로 풍부해진 유동성이 적당한 투자처를 찾다가 오피스텔에 유입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주택 규제가 이어지는 가운데 이달 중 기준금리 인하가 점쳐지면서 오피스텔 시장으로 자금이 꾸준히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처럼 서울 오피스텔의 매매가격이 꾸준히 오를 경우 수익률은 지금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경기가 움츠러든 상황이라 공실 해소나 월세 인상은 기대하기 어렵고 수익률도 떨어질 여지가 많다는 관측이다.
 
14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텔의 매수심리가 회복하는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달 매매가격지수는 101.63으로 8월에 이어 연속으로 상승했다. 이 지표는 지난해부터 올라 지난 1월 102.02까지 상승했다가 7월까지 쭉 내려갔다. 이후 8월부터 반등하기 시작했다.
 
 
오름폭도 커졌다. 8월 매매가격 지수는 7월보다 0.04% 올랐으나 지난달에는 직전월 대비 0.06% 상승했다. 소폭이지만 0.02%포인트 확대된 것이다. 침체됐던 오피스텔 매수 심리가 꿈틀거리는 모습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서울 오피스텔의 가격 상승이 저금리 기조로 시중에 풍부해진 유동성이 투자처를 찾다가 유입된 결과라고 분석한다. 정부의 주택 규제가 계속 강화되면서 아파트 투자가 어려워진 점도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주택에 비해 규제가 덜한 오피스텔로 수요가 이동했다는 시각이다. 
 
이처럼 매매가격 지수는 반등하고 있지만 월세가격 지수는 뚜렷한 상승 기미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지난달 서울 오피스텔의 월세가격 지수는 99.66을 기록했다. 지난해 9월 100.2로 고점을 찍은 후 내리 떨어지다가 1년만에 직전달 대비 0.01% 올랐다. 지표는 상승전환했으나 바닥을 쳤다고 보기엔 아직 이르다는 평가가 나온다. 신축 오피스텔이 계속 공급되고 있어서 수요가 분산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서울시에 위치한 한 공인중개사 사무소 앞을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에 서울 오피스텔의 수익률이 낮아질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오피스텔 수익률에는 매매가격과 월세가격이 영향을 미친다. 월세가격 변화 없이 매매가격이 오르면 수익률은 내려간다. 실제 전국에서 오피스텔 평균 매매가격이 가장 높게 형성된 서울은 지난달 수익률이 4.86%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 5.46%에 미치지 못했다. 조사 대상 지역 9곳 중 세종시 다음으로 가장 낮다. 반면 평균 매매가격이 가장 낮은 광주는 8.18%로 집계 지역 중 가장 높았다.
 
서울 오피스텔의 매매가격은 한동안 상승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주택 규제가 완화될 확률은 낮고 한국은행이 이달 기준금리를 내릴 여지는 많기 때문이다. 금융가에서는 오는 16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시중 자금이 풍부해질수록 아파트를 제외하고 오피스텔을 비롯한 부동산 시장에 더 많은 자금이 흘러 들어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현재 기준금리는 지난 7월 인하한 1.50%다.
 
반면 월세가격이 오르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국내 경기가 개선되지 않으면서 오피스텔의 월세 수요가 늘어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8월과 지난달 연속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불황 우려를 키우고 있다. 국내외 경제기관 41곳의 우리나라 평균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달 2%에서 이달 1.9%로 떨어졌다. 
 
지난 1일 통계청 관계자가 정부세종청사에서 2019년 9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조현택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서울 안에서도 입지에 따라 오피스텔 월세 수요가 갈리면서 공실과 월세가격에 편차가 나타나고 있는 중”이라며 “경제가 침체돼 고용환경이 나빠질 경우 일부 업무단지를 제외하고는 오피스텔 수요가 감소해 수익률이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했다.
 
김응열 기자 sealjjan1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