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정등용 기자] 인천시의 시민 1인당 지역 총소득이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천시의 불리한 인구 구성과 취약한 고용 환경, 재무 상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산업 설비와 기술 투자, 일자리 질 향상, 자영업자 지원에 정책적 뒷받침을 해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1일 인천지역 소비행태 개선 연구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인천시 1인당 지역 총소득은 2892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인 3365만원에도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1인당 지역 총소득은 일정 기간 동안 일정 지역에서 한 개인이 올린 평균 소득 값을 의미한다. 이 데이터는 지역 경제 상황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로 쓰이고 있다.
인천의 1인당 지역 총소득이 전국 평균에 미달했던 것과 달리 같은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도는 각각 4365만원, 3386만원으로 전국 평균을 상회한 모습을 보였다.
이에 대해 이병래 인천시의회 기획행정위원장 “인천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부산을 앞질렀지만,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면서 “1인당 지역총소득과 1인당 개인소득, 1인당 민간소비 역시 전국 평균 이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인천의 핵심 경제활동 인구가 40% 미만으로 떨어지면서 서울과 격차가 벌어졌을 뿐만 아니라 인천의 인적 자원은 연령과 학력 면에서도 서울과 경기도에 비해 불리한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이러한 현상은 인천시의 고령화 된 인구 구성, 상대적으로 취약한 고용 구조와 재무 상황 등에 기인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특히 인천시 고령화 현상을 심각한 수준이다.
2013년~2018년 인천시 세대별 인구 증감을 보면 60세 이상 인구는 15만3903명이 늘었다. 반면 주요 생산 활동 인구인 15세~29세, 30세~59세의 경우 3만명 가까이 줄어들면서 심각한 인력 유출 현상을 보였다.
일자리의 질이 낮은 것도 문제다. 2018년 기준 임시일용직 비율이 28.1%에 달했는데 이는 전국 최고 수준이다. 실업률 역시 4.6%를 기록 서울과 대전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가계부채와 재무 건전성도 불안요소다. 인천시내 예금취급기관의 가계 대출 비중은 51.4%에 달했다. 경기도(55.9%)보다는 낮았지만 전국 평균(48%)에 비춰 봤을 때는 높은 수준이다. 서울의 경우 41.5%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 설비와 기술·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노동 생산성을 높여 1인당 지역소득을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한 일자리 질 향상과 자영업자 지원 정책 등을 시행하는 동시에 역외 소비를 줄이고 역내 유입을 늘려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승헌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인천의 소비 관련 지표가 서울과 경기보다 뒤떨어지는 것은 객관적 사실이며, 이를 단기간에 직접적으로 개선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경제지표의 총량을 늘리는 것보다 경제활동의 흐름, 분배를 지역경제에 실익을 주고 시민의 경제만족도에 유익한 방식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천지역 소비행태 개선 연구회는 지난 1월 관련 세미나를 시작해 매월 조찬회의와 타시·도 지역경제 선순환 프로젝트 실태조사, 부문별 자체 토론회를 실시하고 있다. 오는 10월엔 관련 연구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인천시 용현시장의 모습 사진/인천시
정등용 기자 dyzpower@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