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황세준 기자] '친환경차'로의 자동차 시장 패러다임 이동이 빨라질 조짐이다. 환경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주요 국가들이 하나둘 규제를 강화하면서 내연기관차는 점차 설 자리를 잃고 있다. 미래 자동차 시장의 패권을 놓고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들은 친환경차 기술 경쟁에 이미 돌입했다.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는 2252만8295대다. 이 가운데 친환경차(하이브리드카·전기차·수소전기차)는 33만9134대로 1.5%에 그쳤다. 휘발유차(1036만9752대), 경유차(957만6395대), LPG차(210만4675대)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친환경차 비중은 미미하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자동차 판매량(9526만4000대) 가운데 친환경차는 1.3%(121만4000대)에 불과했다. 다만, 일부 국가의 경우 변화의 흐름이 명확하다. 노르웨이도로연맹에 따르면 지난해 노르웨이 신차 판매량 중 친환경차 비중은 52%로, 절반을 넘었다. 현대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는 주요 완성차 업체들의 공격적인 신차 출시와 각국 정부의 보조금 지원 정책이 맞물리면서 올해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량이 301만4000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친환경차는 크게 하이브리드카, 전기차, 수소전기차로 나눠진다. 하이브리드카는 일본의 토요타가 리딩기업이다. 전기차는 경쟁이 가장 거센 춘추전국시대이며, 수소전기차는 한국과 일본이 패권을 놓고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내연기관에 구동모터를 더한 하이브리드카는 변곡점 역할에 그치는 대신 미래는 전기차와 수소전기차 시대로 흐를 것으로 진단한다. 게다가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가 분석한 석유 가채연수(자원의 확인 매장량을 연간 생산량으로 나눈 지표)는 50.2년에 불과하다. 석유 고갈에 따라 전기차로의 이동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여기에 각 국의 규제 강화는 친환경차 성장을 부추기는 요인이 됐다. 중국은 내년부터 친환경차 의무판매제를 실시하고, 2021년에는 유럽이 이산화탄소 배출량 기준 미달 차량에 대한 벌금제를 시행한다. 영국은 2020년까지 전기차 시장점유율을 5% 이상으로 정했다. 노르웨이와 네덜란드는 2025년, 독일은 2030년, 영국과 프랑스는 2040년부터 내연기관차 판매를 전면 금지한다는 방침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5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을 평균 2°C로 제한하는 시나리오에 맞춰 2030년까지 1억5000만대(전체의 10% 수준), 2060년까지 12억대(전체의 60%)의 전기차 보급 목표를 제시했다.
상황이 급변하면서 BMW, 벤츠, 폭스바겐 등 그간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저조했던 유럽 자동차 기업들도 앞다퉈 적극적인 투자로 전환하고 있다. 벤츠는 2022년까지 10종 이상의 전기차를 출시할 계획이다. 폭스바겐그룹은 700억유로(약 90조800억원)을 투자해 2030년까지 300종의 전기차를 내놓는다.
황세준 기자 hsj1212@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