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업계, 허리가 없다"…중소사 지원책 절실
문체부 향후 게임정책, '게임 부정적 인식 해소' 1순위로 꼽혀
2018-10-11 17:20:40 2018-10-11 17:26:43
[뉴스토마토 김동현 기자] 국내 게임산업 양극화가 심화하는 가운데 이를 해소할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문화체육관광부의 향후 1순위 게임정책 방향으로는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해소가 꼽혔다.
 
심재연 한국게임학회 상임이사는 11일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콘텐츠미래융합포럼 정책토론회:문체부 게임산업 정책 평가 및 향후 정책방향 제시' 토론회에서 "전체 게임산업 매출은 늘고 있지만 사업체·종사자 수가 줄고 있다"며 "특정 대기업이 독식하는 구조로 게임산업 양극화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게임산업 매출은 2013년 이후 꾸준히 증가했다. 지난 2013년 게임산업 매출은 9조7200억원으로, 9조7500억원을 기록한 2012년에 비해 하락했다. 하지만 이후 꾸준히 증가해 지난 2016년 10조8900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사업체 수는 2012년부터 꾸준히 하락 중이다. 지난 2016년 게임업계 사업체 수는 약 1만2000개로, 2012년보다 4000여개가 줄었다. 게임산업 종사자 수 역시 같은 기간 약 2만명 줄어 2016년 기준 7만4000여명이 게임산업에 종사했다. 심 이사는 "매출이나 수출액 등 좋은 지표만으로 게임업계를 판단해서는 안된다"며 "양극화한 게임 생태계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인식은 이날 발표된 문체부 정책 평가 설문조사에서도 반영됐다. 게임학회가 학계·산업계·언론계 종사자 114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문체부 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응답자 49%가 '게임생태계 복구'를 택했다.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에 이어 두번째다. 위정현 콘텐츠미래융합포럼 의장(중앙대 경영학부 교수)은 "현장에서는 중소 게임사 80%가 문을 닫는 상황이지만 이에 대한 지원책이 없다는 목소리가 높다"며 "산업 양극화와 중소 개발사의 몰락은 한국 게임산업 위기를 가속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문체부는 게임사 인력 충원 등을 뒷받침하는 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 김규직 문체부 게임콘텐츠산업과 과장은 "도종환 문체부 장관 취임 이후 게임 마에스터고 설립 추진, 4개 대학 산학연 지원 사업 등을 전개 중"이라며 "재정 지원 등 정부 지원 사업을 늘리겠다"고 말했다.
 
도 장관은 지난해 6월 취임했다. 취임 이틀 만에 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밀집한 게임사들을 방문하는 행보를 보여 게임업계는 도 장관이 양극화, 규제 완화 등 게임업계 숙제를 풀어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이날 발표된 문체부 설문조사에서 '도 장관 취임 이후 문체부 게임산업 정책 종합 평가' 점수가 44점에 그치는 등 실망하는 분위기가 커졌다.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는 "종합평가가 이렇게 낮게 나왔다는 것은 정부 게임산업 전반에 대한 정책 신뢰가 무너졌다는 것"이라며 "최우선 과제로 뽑힌 게임 인식 개선과 생태계 복구를 위한 정책 재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11일 서울시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콘텐츠미래융합포럼 정책토론회:문체부 게임산업 정책 평가 및 향후 정책방향 제시' 토론회. 사진 왼쪽부터 민주평화당 김경진 의원, 위정현 콘텐츠미래융합포럼 의장(중앙대 경영학부 교수). 사진/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esc@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