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하늬 기자] 최근 청년실업률이 악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지역에 따라 청년 고용 상황에 큰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부산, 대구에서 청년고용 사정이 두드러지게 나빴다. 이들 지역들의 섬유, 전자제품, 자동차 산업 등 주력 제조업 생산 증가세가 꺾이면서 청년 고용 부진에도 영향을 미친 것이다.
13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서울 및 광역시별 청년 고용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2∼2017년 서울과 6개 광역시의 15∼29세 청년 실업률을 분석한 결과 대구는 3.5%포인트 올라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어 부산이 2.8%포인트, 서울은 1.8% 포인트로 뒤를 이었다. 반면 같은 기간 대전의 청년 실업률은 1.2%포인트, 광주는 0.1%포인트 하락해 대조를 이뤘다.
연구원은 지역별 청년 고용 상황 차별화에 산업생산과 기업심리가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제조업의 생산 증가율과 기업경기실사지수(BSI)의 영향이 컸다.
2012~2017년 청년 고용이 악화된 대구, 부산, 서울의 제조업 연평균 생산 증가율은 각각 1.2%, 1.3%, 1.3%였다. 반면 대전과 광주는 각각 3.1%, 3.5%를 기록했다. 기업들의 체감 경기 수준을 나타내는 BSI지표도 최근 5년간 대구(-16포인트), 부산(-21포인트)에서 후퇴했지만 대전에서는 4포인트 개선됐다.
대전과 광주의 경우 전자제품, 화학제품, 자동차 산업의 생산이 지난 5년간 크게 증가한 점이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대구, 부산은 섬유 산업이 부진한 가운데 전자제품, 자동자 산업의 생산 증가도 상대적으로 낮아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은 외부로부터 청년층 인구 유입이 크게 늘어 청년 고용 악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봤다.
신유란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원은 "지역별로 거시경제, 산업구조, 청년 고용 시장의 수급 상황이 상이하므로 지역별 모니터링 강화와 일자리 통계 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청년실업률이 악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지역에 따라 청년 고용 상황에 큰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뉴시스
세종=김하늬 기자 hani4879@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