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의 숙제 '반도체'…차세대 동력 발굴 시급
지난해 영업이익 비중 65.5%…반도체 호황 이후 대비해야
2018-04-03 15:17:43 2018-04-03 15:38:29
[뉴스토마토 김진양 기자] 삼성전자의 반도체 의존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반도체 슈퍼사이클의 수혜를 톡톡히 보며 이익 기여도 역시 증가세다. 수년전 실적 견인차 역할을 했던 모바일의 바통을 반도체가 이어받은 모양새다. 삼성전자는 선제적인 투자를 통해 경쟁사들과의 '초격차'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반도체 영향력이 과도하게 높은 점을 지목, 균형성장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모바일과 반도체를 이을 차세대 동력 발굴 또한 절실해졌다. 
 
3일 삼성전자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전자의 반도체부문 영업이익은 35조2041억원으로 전체 영업이익(53조6450억원)의 65.5%를 차지했다. 전년도 46.5%에서 대폭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CE(소비자가전)부문의 영업이익 비중은 9.3%에서 3.1%로 크게 위축됐고, IM(IT·모바일)부문도 37%에서 22%로 줄었다.
 
 
반도체의 영향력은 매출에서도 강화됐다. 지난해 반도체부문의 매출액은 74조2555억원으로 전체(239조5753억원)의 31%를 담당했다. 전년도 25.3%에서 5.7%포인트 증가했다. IM부문의 매출 비중은 44.5%로 가장 높았지만 영향력은 전년보다 4.2%포인트 줄었다. CE부문의 비중도 22.3%에서 18.8%로 감소했다. 매출 증가율에서도 반도체는 45.2%로 타 부문을 압도한다. IM부문의 매출은 6.3% 증가했고, CE부문은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사업 호황을 타고 종사자 수도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DS(부품)부문의 직원 수는 4만9106명으로 1년 사이 4824명 증가했다. 같은 기간 CE부문의 직원 수는 595명 줄었고 IM부문은 1143명 늘었다.
 
반도체의 질주는 과거 스마트폰 성장기의 모바일을 보는 듯하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확대가 절정에 달하던 2012~2013년 IM부문은 20조원 안팎의 수익을 창출했다. 이익 기여도는 70%에 달했다. 그러다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된 2014년부터 IM부문의 영업이익 비중은 빠르게 감소했다. 시장의 중심이 프리미엄에서 중저가폰으로 이동하며 영업이익 비중은 2014년 58%, 2015년 38%로 위축됐다. 2016년에는 갤럭시노트7 단종 사태까지 더해지면서 37%로 주저앉았다.
 
모바일의 공백은 반도체가 메웠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반도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초호황 국면에 접어들었다. 장기적 안목으로 선제적 기술 개발과 투자에 나섰던 삼성전자의 전략이 빛을 발했다. 주력 제품인 D램과 낸드플래시 매출 호조는 현재진행형이다. 출하량은 꾸준히 늘고 있으며 영업이익률은 50%를 돌파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 반도체 부문에만 27조3456억원의 시설투자가 투입됐다.
  
다만 일각에서는 반도체에 대한 높은 의존도가 경영 리스크를 유발할 수 있다는 위기론을 제기한다. 반도체 호황이 끝났을 때를 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닛케이아시안리뷰는 "삼성전자의 최대 약점은 높은 반도체 의존"이라며 "반도체 업황의 불안을 스마트폰과 TV의 반등으로 이겨내야 한다"고 진단했다. 삼성전자도 이 같은 점을 인식하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가전으로 구성된 주력 사업군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며 "전장 사업이나 AI, IoT 등 신성장 동력을 추가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진양 기자 jinyangkim@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