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원수경기자] 낮아진 미국의 단기실업률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여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상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경제학자들의 지적이 나왔다.
파이낸셜타임즈(FT)는 20일(현지시간) 앨런 크루거 전 오바마 행정부 경제자문위원장 등을 인용해 높은 장기실업률만으로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낮추기 힘들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이는 아직까지 장기실업률이 높은 만큼 인플레이션율 상승 압력이 적다고 본 자넷 옐런 연준 의장의 판단과는 반대되는 주장이다.
◇전·현직 군은을 대상으로 열린 미국의 취업박람회 모습(사진=로이터통신)
지난달 기준 미국의 실업률은 6.7%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 압력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경제회복을 이끌어낼 수 있는 수준으로 여겨지는 5.5~6%보다 아직 1%포인트 정도 여유가 있다.
하지만 6개월 이상 장기실업자를 제외한 단기실업률은 4.3%까지 내려갔다. 이는 과거 미국 고용시장이 호황기였을 때에 근접한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은 음의 상관관계를 띈다. 실업률이 낮아지면 생산성이 늘고 이는 근로자의 임금인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임금인상은 결국 물가상승 압력을 높인다는 것이다. '필립스 곡선'이라는 이론으로도 잘 알려져있다.
최근 경제학자들이 주목하고 있는 것은 실업률 중에서도 단기실업률과 인플레이션율의 관계다. 로버트 고든 노스웨스턴대 교수와 마크 왓슨 프린스턴대 교수 등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장기실업률을 제외한 실업률이 인플레이션율과 보다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루거 전 위원장도 연구결과를 통해 "장기실업자들은 경제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는 시험적 결론을 내렸다"고 밝힌 바 있다. 장기실업자들의 구직활동이 활발하지 않은데다 고용주들도 이들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높은 장기실업률은 인플레이션 압력을 낮추는데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반면 평년수준까지 낮아진 단기실업률이 임금인상을 이끌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옐런 의장도 인플레이션 압력은 크지 않다고 판단하면서도 "임금 인상 압박은 가격 압박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인플레이션율 상승을 경고하는 초기 지표가 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다만 FT는 "장기실업률이 인플레이션을 낮추는데 큰 역할을 하지 못하더라도 저조한 노동시장 참가율 등 다른 요소들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