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피투모로우)퇴직 후 은퇴자금, 인출 어떻게?
2014-04-01 08:42:01 2014-04-01 08:46:21
앵커 : 이주의 주요 은퇴뉴스 살펴보고 왔습니다. 노후자금 자산관리는 분산전략이 중요하다는 뉴스 살펴보고 왔는데요. 오늘은 노후자금 인출시기의 자산관리에 대해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서지명기자 나왔습니다. 요즘은 자산을 어떻게 모아야 하느냐 하는 것 이상으로 어떻게 써야하는 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기자 : 네 그렇습니다. 경제가 고성장 국면에 있고 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할 때는 돈을 어떻게 모으느냐, 즉 적립 중심의 자산 운용이 중심이 됩니다. 하지만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접어들고 고령화가 본격화되면 어떻게 현금화해서 자산을 알맞게 분배해서 쓰느냐 하는 인출 중심으로 자산운용의 중심축이 이동하게 됩니다.
 
이처럼 인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이유는 우리나라의 급격한 고령화해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는 지난해 처음으로 60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지난주에 발표된 '2013 한국의 사회지표'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12.2%로 약 30년 전인 1980년의 3.8%보다 3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고령인구 비중은 지속적으로 늘어 2030년에는 24.3%, 2040년에는 32.3%까지 높아질 전망입니다. 현재 인구 10명 중 1명인 고령인구 비중이 2040년에는 3명까지 늘어나게 되는데요. 평균연령 역시 1980년 25.9세에서 2040년 49.7세로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기대수명 역시 길어졌는데요. 10년 전에는 은퇴 이후 기대여명이 17.8년이었는데 10년여 만에 20.8년으로 3년 늘었습니다.
 
앵커 :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접어들고, 고령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 서서히 적립에서 인출 중심으로 자산운용이 이동한다는 말씀인데요. 그렇다면 인출 시기의 자산관리 방법은 어떻게 다른가요?
 
기자 : 인출기간의 자산관리는 적립기간의 자산관리와 비교했을 때 가장 기본적으로 변동성에 대한 대응이 다릅니다. 적립기간에는 일정기간 수익률이 떨어지더라도 그 기간에 꾸준히 적립해 결과적으로 패자부활이 가능하지만 인출기간에는 반대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그렇다고 모든 자산을 안전자산으로만 운용해서도 안됩니다. 과거에는 노후자금이라고 하면 무조건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이 상식으로 받아들여졌지만 저금리가 장기화되고, 수명이 늘어나면서 이런 상식도 깨지고 있습니다. 무조건 안전만 추구할 수도 없고, 무턱대고 공격적으로 자산을 운용할 수도 없습니다.
 
퇴직한 후에는 급여형태의 안정적인 현금 흐름이 없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상품이 필요한데요. 중위험 중수익 전략이 대안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권기둥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선임연구원 말씀 들어보시겠습니다.
 
앵커 : 내가 감내할 수 있는 변동성 범위 내에서 안전자산보다는 조금 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는게 중위험 중수익 전략의 핵심인 것 같은데요. 인출기간에 유용한 전략을 어떻게 세워야 하나요?
 
기자 : 적립기간 뿐만 아니라 인출기간 자산 역시 분산이 기본으로 세금부담이 적은 것부터 해나가야 합니다. 또 전문가들은 인출기간에는 국민연금이나 주택연금과 같은 종신연금을 기본으로 깔고, 나머지 자산은 어느 정도 공격적인 투자에 맡기라고 조언합니다. 권기둥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선임연구원 말씀 들어보시겠습니다.
 
앵커 : 오늘은 노후자금의 인출 전략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등산을 할 때도 산을 오르는 것 이상으로 내려오는 것이 중요하듯 자산관리 역시 모으는 것 이상으로 찾아 쓸 때도 계획이 필요할텐데요. 중위험 중수익 전략 염두에 두시고 똑똑한 노후자금 인출전략 세우시길 바랍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