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공개정보로 20억 챙긴 임원 적발…합동수사단, NH투자증권 압수수색
2년간 11개 종목 공개매수 정보 유출…지인 통해 차명거래 정황
공개매수 시장 급팽창 속 내부통제 허점 노출…당국, 경종 울려
2025-10-28 15:29:41 2025-10-28 16:42:39
[뉴스토마토 김주하 기자] 금융당국이 NH투자증권(005940) 투자은행(IB) 부문 고위 임원이 상장사 공개매수와 관련한 미공개정보를 이용해 20억원대 부당이익을 챙긴 혐의로 강제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한 불공정거래 척결 기조에 따라 지난 7월 출범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의 두 번째 사건(2호 사건)으로, 금융당국이 내부자 불공정거래에 대해 무관용 원칙의 칼을 빼 들었습니다. 
 
28일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로 구성된 합동대응단은 서울 여의도 NH투자증권 본사 임원실과 공개매수 관련 부서 등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한국거래소가 공개매수 공표 전후 주가 급등 및 거래량 이상 현상을 포착해 금융감독원에 통보한 뒤 감독 당국이 NH투자증권 임원 연루 정황을 확인하면서 합동대응단으로 사건이 이첩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합동대응단에 따르면 NH투자증권 임원 A씨는 최근 2년간 회사가 주관한 11개 상장사 공개매수 관련 중요 정보를 직장 동료와 지인 등에게 반복적으로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이들은 공개매수 발표 전 주식을 매수하고 발표 후 주가 상승 시 매도하는 방식으로 약 20억원대 부당이익을 챙긴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매매 기록과 자금흐름 분석 결과 A씨와 정보 이용자 간 주식매매 관련 자금으로 보이는 거액의 금전거래가 빈번히 발생했으며 일부는 친인척 명의 차명계좌를 수시로 바꿔가며 금융당국의 감시를 회피한 정황도 드러났습니다. 
 
공개매수는 경영권 확보나 지배구조 개편 등을 위해 특정 기업의 주식을 시장 밖에서 일정 기간 매입하는 절차로 통상 공개매수 가격이 시세보다 높게 책정돼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호재성 정보'로 인식됩니다. 이에 따라 자본시장법은 공개매수 관련 미공개정보를 이용하거나 타인에게 제공하는 행위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습니다. 
 
NH투자증권은 2023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전체 공개매수 55건 중 28건(점유율 약 51%)을 주관하며 업계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합동대응단은 이번 조사를 계기로 NH투자증권이 내부통제와 준법 감시 체계를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합동대응단은 "미공개정보 이용은 자본시장의 공정성과 신뢰를 훼손하는 중대 범죄"라며 "금융회사와 상장사 임직원 등 내부자의 불공정행위에 대해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위법행위가 적발될 경우 엄정 조치해 자본시장 내 준법의식을 확립하고 경종을 울리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대해 NH투자증권은 "회사는 이번 사안의 중대성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해외 출장 중인 해당 임원에게 즉시 복귀를 명했고, 적극적으로 조사에 응해 소명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사실관계를 면밀히 규명하고 조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후속 조치를 취할 방침"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행동주의 펀드의 등장과 인수합병(M&A)을 통한 지배구조 재편, 주주 권리 강화 목적의 경영권 분쟁이 늘면서 공개매수 시장은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합동대응단은 과거에는 공개매수 수요가 적어 시장의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최근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면서 관련 불공정거래 건수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통보된 불공정거래 중 공개매수 관련 미공개정보 이용 유형은 12건으로 전체의 절반 수준을 차지했습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공개매수 시장이 빠르게 커지는 상황에서 내부자의 정보 악용이 반복되면 시장 신뢰가 훼손될 수 있다"며 "금융회사들의 내부통제와 준법 감시 체계를 면밀히 점검하고 필요시 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NH투자증권은 지난 7월에도 공개매수 담당 직원이 별도의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로 압수수색을 받은 바 있습니다. 이번 사건은 당시 직원 건과는 별개로 금융감독원이 임원급 연루 정황을 추가로 포착하면서 합동대응단 차원으로 확대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김주하 기자 juhaha@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자본시장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