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 유엔 본부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한동인 기자]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END(교류·관계정상화·비핵화)' 이니셔티브라는 한반도 해법을 제시한 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외교전을 통해 한반도 문제에 대한 지지를 요청했습니다. 체코·우즈베키스탄 정상,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의 연쇄 회동이 이어졌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쿠테흐스 사무총장과 만나 "국제사회의 대립과 갈등이 심화되면서 분쟁으로까지 확대되는 상황에서 유엔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이 구테흐스 사무총장을 만난 건 지난 6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이후 두 번째입니다.
이 대통령은 기조연설에서도 언급한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는 국제사회 전체의 평화안보와도 연계되어 있다고 하고, 갈등과 대립을 넘어 대화와 협력의 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해달라"고 유엔의 지원을 당부했습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쿠테흐스 사무총장은 한국 정부와의 연대·협력 강화는 물론 이 대통령이 제시한 대북 정책에 대한 적극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는 양국의 실질적인 협력 확대에 뜻을 모았습니다.
이 대통령은 "풍부한 광물자원과 역내 최대 인구를 바탕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닌 우즈베키스탄과, 우수한 기술력을 지닌 우리나라 간 경제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를 바란다"면서 내년 우리나라에서 개최를 추진 중인 '한-중앙아시아 정상회의'에 대한 소통을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페트르 파벨 체코 대통령과 회담에서는 양국의 관광 교류 등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습니다. 파벨 대통령은 지난 6월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건설 최종 계약이 체결된 것을 언급하며, 한국기업의 우수한 능력을 높이 평가한 것에 기반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원전과 관련한 체코의 지원을 평가하며 "반도체, 전기차, 방산 등으로 확대되어 호혜적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고 했습니다.
한편 이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안전보장이사회 고위급 공개토의를 주재해 인공지능(AI)이 국제 평화와 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견을 나눌 예정입니다.
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