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균 전 남북장성급회담 수석대표가 19일 강원 고성 DMZ 평화박물관에서 9·19 군사합의 체결 7주년을 기념해 열린 '9·19 군사합의 복원 및 평화 결의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주최측)
[뉴스토마토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9·19 군사합의 복원이 남북 관계 개선과 북·미 대화 재개 등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가동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조용근 전 국방부 대북정책관(예비역 육군준장)은 19일 '9·19 군사합의' 체결 7주년을 기념해 강원 고성 DMZ 평화박물관에서 열린 '9·19 군사합의 복원 및 평화 결의 세미나'에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조 전 대북정책관은 "9·19 군사합의는 접경지역 평화 정착의 안전핀으로 핵심 역할을 수행해왔고 접경지역의 근본적인 평화 정착은 남북 군사적 긴장 완화와 직결된다"며 "9·19 군사합의 파기로 접경지역의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고 일촉즉발의 무력 충돌 위기가 찾아왔다"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조 전 대북정책관은 "9·19 군사합의 복원은 남북 관계는 개선은 물론 북·미대화 재개를 위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가동의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한반도 평화를 위해 9·19 군사합의 복원에 대한 의지와 용기가 절실한 시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조 전 대북정책관은 "한반도의 지속 가능한 평화 상태를 만들고 평화가 일상화된 국민들의 삶을 영위하기 위한 최우선 조치 중 하나가 남북 간 접경지역 일대에서의 상호 적대 행위를 전면 중단하는 것"이라며 "지난 수십년 동안 대한민국의 안보를 위해 특별한 희생을 해온 접경지역 주민들의 안정된 삶을 보장하고, 위기에 처한 지역 민생을 회복하기 위해서라도 '평화가 경제'이고 '평화가 밥'이라는 대전제를 접경지역 일대에 실질적으로 정착시켜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
이상철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이 19일 강원 고성 DMZ 평화박물관에서 9·19 군사합의 체결 7주년을 기념해 열린 '9·19 군사합의 복원 및 평화 결의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주최측)
한반도 평화 포럼, 남북고성 통합운동본부, 민주당 속초·인제·고성·양양 지역위원회(위원장 김도균)가 공동 주최한 이날 세미나에는 2018년 9월 9·19 군사합의를 이끌었던 이상철 당시 국가안보실 1차장과 김도균 당시 국방부 대북정책관(남북장성급군사회담 수석대표) 등 핵심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습니다. 조 전 대북정책관 역시 당시에 남북군사실무회담 수석대표를 맡았습니다.
박창식 <뉴스토마토> K국방연구소장(전 국방홍보원장)과 김영식 강릉원주대 교수 등 한반도 평화 문제에 깊은 관심과 해박한 지식 체계를 겸비한 전문가들도 지정 토론자로 참여했습니다.
지정 토론에 나선 이 전 차장은 "2018년 9월19일 평양에서 남북 양 정상이 참관한 가운데 체결한 역사적인 '9.19 군사합의'가 벌써 7주년이 되었지만, 안타깝게도 현재 남북한 상황은 합의 체결 이전 상태로 돌아갔다"며 "빠른 시간 내에 9·19 군사합의를 복원하여 한반도의 평화를 만드는 노력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박 소장은 "윤석열정권 출범 이후 완전히 중단됐던 남북 간 소통 창구를 조기에 개통하고 대화 채널을 정상적으로 가동시키는 노력을 좀 더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남북간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상호 군사적 신뢰를 구축할 수 있는 9·19 군사합의 복원과 관련한 협의도 선제적으로 인내심을 가지고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2018년 9월19일 평양에서 9·19 군사합의를 최종적으로 이끌어냈던 김 전 대북정책관은 "지난 수십년간 대결과 갈등이 심각한 수준으로 반복되어왔던 한반도 최고의 민감 지역인 남북간 접경지역 일대에서의 상호 적대 행위를 전면 중지하기로 합의한 문건이 바로 9·19 군사합의서"라며 "9·19 군사합의는 정전협정 정신을 구현하고 대한민국 역대 정부들이 그동안 추진했던 평화 정착 노력을 현실적으로 접목하여 접경지역에서의 상호 적대 행위를 중지하기 위한 실효적 조치를 어려운 협상 과정을 거쳐 남북 양 정상이 보증하는 방식으로 합의한 최초의 사례였다"고 말했습니다.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ston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