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안정훈 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장기적으로 미래 모빌리티 사업에서 자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핵심 플랫폼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자신했습니다.
이주형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사업부장(오른쪽에서 두번째)이 아우디 AG 기술개발 이사회 멤버인 제프리 부코(왼쪽에서 두번째), 3M 첨단소재·운송제품 플랫폼 부문 사장 에이미 맥러플린(오른쪽에서 첫번째)과 IAA 모빌리티 2025 컨퍼런스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삼성디스플레이)
이주형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사업부장(부사장)은 10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세계 3대 모터쇼 ‘IAA 2025’에서 열린 컨퍼런스에 참석해 “삼성 OLED는 자율 주행하는 미래 모빌리티와 사람을 연결하는 디지털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부사장은 “SDV(Software Defined Vehicle)로 진화해 자율주행 하는 자동차 안에서, 디스플레이는 자동차와 사람을 연결하는 접점이자 디지털 플랫폼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특히 OLED는 AI와 접목해 주변 사물을 인식하거나 딥러닝을 통해 안전 주행 솔루션을 제공하는 등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 인프라로서 다양한 가치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최근 삼성디스플레이는 차량용 OLED 브랜드 ‘DRIVE™’을 선보이는 등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모빌리티 사업을 낙점했습니다. 이 부사장은 “삼성 OLED는 새롭고 특별한 무언가를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설레는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며 “슬라이더블, 벤더블, 롤러블 등 미래형 콘셉트는 이제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고 예고했습니다.
기술적으로도 자신감을 드러냈습니다. 이 부사장은 “시야각을 제어하는 FMP(Flex Magic Pixel)나 카메라를 디스플레이에 내장해 홀을 없애는 UPC(Under Panel Camera) 기술을 통해 차량 인테리어를 심미적으로 개선할 뿐만 아니라 AI 기능과 결합해 안전 주행을 방해하는 여러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며 “완벽한 블랙 표현과 명암비 등 LCD와 차별화되는 OLED의 고품격 화질 역시 차량의 고급감을 배가시키는 특성”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부사장은 삼성디스플레이의 역량을 바탕으로 더 크고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자 하는 고객 수요에 대응할 수 있다고 자신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조합해 대형 화면을 구성하는 ‘멀티 라미네이션’(Multi-Lamination) 솔루션을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입맛에 맞게 조합하면 된다는 콘셉트로, 삼성디스플레이 측은 제품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이는 동시에 제품 개발에 투입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나아가 삼성디스플레이가 신차 기획 단계부터 중장기 미래까지 함께 고민할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고객은 삼성디스플레이라는 플랫폼에서 새로운 기술과 소재 등을 레고 조립해보듯 테스트해보고, 이를 통해 중장기 인포테인먼트 로드맵을 구상하면 된다”며 “삼성디스플레이의 기술 개발 로드맵도 이와 동기화해 필요한 시점에 신속하게 OLED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안정훈 기자 ajh7606311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