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건물 외부에서 흡연자들이 담배를 피우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김태은 기자] 30년 이상 흡연하고, 20년 이상 하루 1갑씩 담배를 피운 사람은 비흡연자보다 소세포폐암 발생 위험이 54.5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공단) 건강보험연구원과 연세대 보건대학원 지선하 교수 연구팀은 11일 국내 발생률 상위 주요 암종을 대상으로 생활환경과 유전위험점수(PRS)가 같은 수준인 집단 간 흡연에 따른 암 발생 위험도와 기여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2004~2013년 전국 18개 민간검진센터 수검자 13만6965명을 대상으로 건강검진 및 유전위험점수 자료, 중앙암등록 자료, 건강보험자격 자료를 연계해 2020년까지 추적 관찰한 결과입니다.
분석 대상 암종은 폐암(전체·소세포폐암·편평세포폐암·폐선암), 후두암(전체·편평세포후두암), 위암, 대장암, 간암입니다.
암 발생 위험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일반적 특성 및 생활환경, 유전위험점수(PRS)가 동일 수준이더라도 담배 소송 대상 암종(소세포폐암, 편평세포폐암, 편평세포후두암)의 흡연으로 인한 발생 위험도는 여타 암종에 비해 높았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흡연자에 비해 '30년 이상, 20갑년 이상(하루에 담배 1갑을 20년간 피운 흡연량)' 현재 흡연자의 암 발생 위험도는 소세포폐암 54.5배, 편평세포폐암 21.4배, 편평세포후두암 8.3배 높았습니다. 위암(2.4배), 간암(2.3배), 대장암(1.5배) 등 다른 암종과 비교했을 때 높은 수준입니다.
흡연이 암 발생에 기여하는 비율도 높게 나타났습니다. 기여 위험도 분석에서 흡연이 '30년 이상, 20갑년 이상' 현재 흡연자의 소세포폐암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는 98.2%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편평세포후두암(88.0%), 편평세포폐암(86.2%)도 흡연이 암 발생의 가장 큰 원인으로 확인됐습니다. 반면 대장암(28.6%), 위암(50.8%), 간암(57.2%)은 흡연 외 요인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전 요인이 편평세포폐암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는 0.4%로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다만 대장암은 7.3%, 위암은 5.1%로 편평세포폐암보다 유전 요인의 영향이 각각 18.3배, 12.8배 컸습니다.
이선미 건강보험연구원 건강보험정책연구실장은 "폐암과 후두암은 여타 암종과의 비교에서도 흡연이 암 발생에 기여하는 정도가 월등히 높고, 유전 요인의 영향은 극히 낮았다"며 "흡연과 폐암·후두암 발생 간의 인과성이 더욱 명백해졌다"고 말했습니다.
공단은 지난 2014년 4월 ㈜KT&G, ㈜한국필립모리스, ㈜BAT코리아 등 담배 회사를 상대로 약 533억 원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는 30년, 20갑년 이상 흡연한 뒤 폐암, 후두암을 진단받은 환자 3465명에게 공단이 지급한 급여비(진료비)입니다.
하지만 1심 재판부는 지난 2020년 폐암, 후두암 환자에 대한 인과관계 입증 부족을 이유로 공단의 청구를 기각(패소 판결)했습니다. 공단은 이에 항소했고, 지난 5월 최종 변론을 진행했습니다.
김태은 기자 xxt197@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