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진하 기자] 국민의힘 당권주자들이 10일 첫 번째 방송토론회에서 '비상계엄'에 대한 시각차를 보였습니다. 그러면서 '극우'와 '전한길' '윤 어게인' 등에 대해서는 '찬탄(탄핵 찬성)'과 '반탄(탄핵 반대)'이 한때 공방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안철수(왼쪽부터), 조경태, 장동혁, 김문수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가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채널A스튜디오에서 '국민의힘 8·22 전당대회' 첫 방송토론회를 시작하기 전에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날 서울 광화문 <채널A>에서 진행된 8·22 전당대회의 첫 방송토론회의 주도권 토론에서 김문수 후보가 조경태 후보를 향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가장 앞장선 분 중 하나 아닌가"라고 질문했습니다. 조 후보는 "그렇다"며 "윤 전 대통령은 만고의 역적이지 않은가. (비상계엄으로) 국민께 총과 칼을 겨눈 사람"이라고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조 후보는 "김 후보께서는 우리 당과 대한민국의 주인은 누구라고 생각하는가"라며 "바로 대통령이 아닌 우리 국민"이라고 자문자답했습니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이 '만고의 역적'이 아닌 이재명 대통령이 만고의 역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김 후보는 김대중 전 대통령을 비롯해 민주당에서 배출한 전직 대통령을 언급하며 "그들이 북한에 비밀 송금 등을 해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게 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안철수 후보도 김 후보를 향해 계엄에 대한 입장을 거듭 물었습니다. 안 후보는 "지난 대선 때 국민들 앞에서 계엄에 사과하겠다고 하지 않았나"라며 입장을 명확히 하라고 질문했습니다. 김 후보는 "계엄은 잘 못했지만, 계엄을 통해 아무도 다치지 않았고, 대통령의 비상대권으로 헌법에 보장된 권한"이라고 주장을 이어갔습니다.
극우, 전한길씨 등에 대한 공방도 이어졌습니다. 장동혁 후보는 안 후보를 향해 "저에게 '극우'라 하는데, 몇 가지 사례나 기준, 행동이 있다면 구체적으로 말씀해 달라"고 했습니다. 안 후보는 "저는 극우란 표현을 쓴 기억은 없으며, 지금의 사태는 이념적인 것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그러자 장 후보는 안 후보를 향해 재차 질문하며 "그럼 저에게 당을 나가라고 하는 이유 중 어떤 것이 가장 큰 문제인가"라고 물었습니다. 안 후보는 "전(한길)씨와 함께 한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꼬집었습니다.
안철수(왼쪽부터), 조경태, 장동혁, 김문수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가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채널A스튜디오에서 '국민의힘 8·22 전당대회' 첫 방송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윤 어게인 등 논란을 두고도 4명의 후보의 격한 공방도 이어졌습니다. 안 후보가 장 후보를 향해 "윤 어게인이냐"고 물었고, 장 후보는 "다른 주장에는 동의하기 어렵지만 자유민주주의 체계를 확고하게 지키고 반국가 세력을 척결해야 한다는 윤 어게인의 주장은 내가 당대표가 되더라고 함께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답했습니다.
조 후보는 김 후보를 향해 "부정선거 음모론이나 극우에 대해 어떤 입장이냐"고 물었습니다. 김 후보는 "국민의힘에는 극우가 없다"며 "정청래 민주당 대표 같은 사람이 극좌"라고 주장했습니다. 또 과거 정 대표가 미국 대사관 방화 사건에 가담한 이력을 언급하면서 "부정선거 음모론자들이 불을 질렀나, 폭력을 행사했냐"고 되물었고, 조 후보는 "극우와 극좌는 상통하고, 혹시 문해력이 떨어지는지 모르겠다"고 맞받아쳤습니다.
반탄파에서는 당의 통합과 쇄신 방향에서 엇갈린 입장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장 후보는 "뭉치지 못해 대통령을 두 번이나 탄핵하는 결과를 맞았다"며 "내부총질하는 사람들도 통합할 수 있냐"고 김 후보를 향해 질문했습니다.
김 후보는 "과거를 파헤쳐 싸우게 되면 끝이 없고, 결국 개헌 저지선도 무너질 것"이라며 "이재명의 독재를 도와주기보다 우리끼리 뭉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장 후보는 "107명의 의석을 가지고 있지만 탄핵 당시를 떠올리면 8~9명의 이탈로 탄핵 저지선이 무너졌다. 결국 개헌은 최종적으로 국민 투표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진하 기자 jh311@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