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변소인 기자] 정부가 3분기부터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무비자 허가 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지만 7월 말인 현재까지도 아직 정책이 시행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1분기부터 기대를 해 온 여행·관광업계는 조속한 시행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24일 여행·관광업계에 따르면 이들 업계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시범 사업에 큰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중국인 관광객 수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을 아직 회복하지 못한 까닭인데요.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가 허용되면 여행, 관광 산업이 다시 활기를 띨 수 있을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습니다. 현재 고물가와 경기 위축 탓에 자국민 수요만으로는 역부족인 상황이라 중국인 관광객 증가가 단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지난해 11월에는 중국이 한·중 수교 이래 32년 만에 한국에 대한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면서 20~40대의 중국 여행 수요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비자를 미리 준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항공권 특가에 맞춰 빠르게 중국 여행을 떠날 수 있는 점이 이점으로 작용했습니다. 우리나라가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면 한중 간 분위기 회복에도 영향을 미쳐 양국 모두 상대국을 여행하는 것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이런 분위기가 확산하면 국내에서 해외로 나가는 아웃바운드,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인바운드 여행사 모두 이익을 거둘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난 23일 인천국제공항 출국장이 붐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화체육관광부는 법무부와 함께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무비자 시범 사업에 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문체부 관계자는 "법무부랑 협의 중"이라며 "3분기에 진행할 예정이며 시기 등 전반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시행이 되면 여행사 등에 따로 지침이 내려갈 예정입니다. 현재 중국인 단체 관광객은 제주도에 한해 30일 무비자 체류가 가능합니다. 무비자 시범 사업이 시행되면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우리나라 전역에 무비자로 체류할 수 있게 됩니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시범 사업에 대한 이야기는 지난해 12월부터 시작됐는데요. 한덕수 전 대통령 권한대행은 지난해 12월26일 제9차 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국제사회에 한국 관광이 안전하다는 것을 알리는 게 가장 중요하고 시급하다"며 "12·3 비상계엄 사태로 위축된 관광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시범 사업을 조속히 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올해 3월에는 최상목 전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분기 중국인 관광객 무비자 입국을 전국으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방한 관광시장 글로벌 성장 전략'을 발표하며 다시 한번 공식화했습니다.
오는 10월1일부터 시작되는 중국 국경절 대목을 준비하려면 하루빨리 시행계획이 나와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한 호텔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3분기에 한다고 했으니 믿고 기다리고 있다"며 "시행이 되면 내부적으로 준비해야 할 것들이 많아 빠르게 계획이 나올수록 좋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리조트업계 관계자는 "3분기에 한다고는 했는데 그 뒤로 소식이 없어 애가 탄다"며 "국경절을 챙기려면 지금쯤 계획이 발표돼야 한다. 이러다 흐지부지될까 걱정된다"고 전했습니다.
변소인 기자 bylin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나볏 테크지식산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