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4월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한-미 2+2 통상 협의 관련 합동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뉴스토마토 김태은 기자]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주미대사관에서 진행한 '한미 2+2 통상 협의' 결과 브리핑에서 "우리 측은 상호관세 유예가 종료되는 7월8일 이전까지 관세 폐지를 목적으로 '7월 패키지'를 마련하자는 데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양측 관심사인 △관세·비관세 조치 △경제 안보 △투자 협력 △통화(환율) 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해 나가는 데에도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최 부총리는 "보다 구체적으로 조만간 산업부와 미 무역대표부(USTR) 간 실무협의를 개최한다"며 "내달 15일부터 이틀간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하는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추가적인 고위급 협의를 가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최 부총리는 "상호관세와 품목 관세 부과가 양국 경제협력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음을 설명하고 한국에 부과된 관세에 대한 면제와 예외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며 "특히 우리 경제에 부정적 효과가 가장 큰 자동차 분야에 대해 중점 설명했다"고도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한국의 정치 일정과 통상 관련 법령, 국회와의 협력 필요성 등 앞으로 협의에 있어 다양한 고려 사항이 있음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미측의 이해를 요청했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오후에 개최된 산업부와 USTR 간 협의는 오전 2+2 회의에서의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상세한 협의를 가졌다"며 "양측은 협의를 위한 복수의 작업반을 구성하기로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환율 정책과 관련해선 "한국 기재부와 미국 재무부 간 별도로 논의해 나가기로 양국이 합의했다"며 "조만간 실무 협의가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최 부총리는 "협의의 출발점인 오늘 '2+2 회의'를 통해 협의 과제를 좁히고 논의 일정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협의의 기본 틀, 즉 프레임워크를 마련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태은 기자 xxt197@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