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대명' 경선?…비명계 반발에도 '50 대 50' 경선룰 강행
당원 50%·여론조사 50%…"역선택 가능성 차단"
비명계, '이재명 들러리' 경선 비판…"매우 유감"
2025-04-13 17:41:18 2025-04-13 17:41:18
이춘석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이 지난 9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 제1차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박진아 기자] 민주당이 6·3 대선 경선 방식을 '권리당원 투표 50%+국민여론조사 50%'로 확정한 것을 두고 여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비이재명(비명)계 대선주자들은 당 유력 주자인 이재명 예비 후보에 유리한 방식이라고 비판하면서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친이재명(친명)계는 '비명횡사' 분위기 속 이미 경선을 넘어 본선을 준비하는 모양새입니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전날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내용으로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에 관한 특별당규'를 제정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지난 19대와 20대 대선 때 일반 국민을 선거인단으로 모집해 진행하던 국민경선을 바꾼 것입니다. 
 
민주당은 권리당원 투표를 위해 충청·경상·호남·수도권 등 4개 권역에 걸쳐 순회 경선을 치르기로 했습니다. 이번 권리당원 투표에는 16∼18세 당원도 참여할 수 있게 했고, 경선일로부터 12개월 이전에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110만여명이 권리당원 투표 참여 대상입니다. 일반 국민 여론조사는 안심번호로 추출한 표본 100만명을 여론조사 기관 2곳에 50만명씩 나눠 실시한 뒤 결과를 합산합니다.
 
이춘석 특별당규위원장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민주당 공직 후보 선출 방식이 변화해 왔다"며 "이번 대선에서 민주당은 또 한 번 변화를 맞이한다. 치열한 논의 끝에 국민경선에서 국민참여경선으로 바꾸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당규위가 경선 방식을 바꾼 데는 이전보다 역선택 우려가 높아졌다는 판단이 작용했습니다. 선거인단 모집 시 국민의힘 지지자나 극우세력이 들어와 본선 경쟁력이 낮은 후보에게 표를 몰아줘 결과를 왜곡할 가능성이 있다는 게 당규위의 설명입니다.
 
앞서 비명계는 이 예비후보가 대표 시절 일극 체제를 구축한 것을 이유로 당원과 일반 국민을 구별하지 않는 완전 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비명계 주자인 김동연 경기지사는 이날 서울 영등포구 대산빌딩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별 의미 없는 경선으로 가는 것 같아 대단히 유감"이라며 "압도적 정권교체를 위해 국민경선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국민경선은 민주당의 전통이자 자부심인데, 역선택을 우려하는 것은 불법 계엄과 내란 종식을 끌어낸 국민 역량을 봤을 때 도리가 아니다"라며 "압도적 정권교체를 이룰 수 있도록 바로잡아 달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날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당 결정에 따르겠다"면서도 "더 많은 당원들이 경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의견은 당에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김두관 전 의원 측도 전날 "경선 당사자인 후보 측과 경선룰에 대한 협의조차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경선룰 확정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고 전했습니다. 
 
박진아 기자 toyouja@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