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2월 18일 17:01 IB토마토 유료 페이지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IB토마토 이성은 기자]
BNK금융지주(138930) 계열 은행이 수출 부진으로 위기에 처했다. 수출 전망이 어두워지면서 기존 기업여신 건전성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제조업 중심의 지역 기업 대출액 비중이 커 연체 우려도 있다. 지난해에는 기업 여신 상각과 매각을 단행했으나 건전성 개선은 요원한 상황이다.
사진=BNK금융
계열 은행 건전성 악화 추이
18일 BNK금융지주에 따르면 부산은행의 지난해 말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72%다. 전년 말 0.42% 대비 0.3%p 악화된 수치다. 연체율도 악화됐다. 지난해 말 연체율은 0.62%로 같은 기간 0.14%p 올랐다.
특히 1년 새 부산은행의 건전성 하락 폭이 크다. 여신잔액 증가 속도에 비해 건전성 악화가 빨랐던 탓이다. 지난해 말 부산은행의 여신 잔액은 62조3416억원이다. 전년 말 대비 1.82% 증가했다. 정상여신이 1.06% 늘어난 것에 비해 고정이하여신은 크게는 두 배 이상 불어났다. 고정분류여신은 104.72%, 회수의문 46.94%, 추정손실 29.84% 커졌다. 고정이하여신은 4505억원으로 74.6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연체율도 증가했다. 대출채권 61조4407억원 중 3788억원이 연체 금액으로, 전년 말 대비 31.21% 규모를 키웠다. 매각과 상각을 통해 부실 여신 규모를 줄였음에도 건전성 악화를 못지 못했다. 부산은행은 지난해 1년 동안 4185억원 규모로 매각을 단행했으며, 상각액은 1647억원에 달한다. 전년 말에 비하면 매각이 44.7%, 상각이 95.8% 확대됐다.
지난해 부산은행의 매·상각 모두 기업여신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4분기 부산은행에서 실행된 상각액 516억원 중 385억원, 매각액 1338억원 중 1242원이 기업여신에서 실행됐다.
경남은행 상황도 안 좋기는 마찬가지다. 지난해 말 경남은행의 고정이하비율과 연체율은 모두 악화 추이를 보였다. 특히 지난해 3분기 말 개선 추이를 보이는 듯싶었으나 건전성은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경남은행도 지난해 매각 3749억원, 상각 896억원을 단행했다. 2023년 매각이 1544억원, 상각은 725억원 규모로 실행된 것에 비하면 확대 폭이 크다. 특히 경남은행의 경우 지난해 4반기 총매각액은 644억원으로, 신용카드 2억원을 제외한 642억원 모두 기업여신이 매각됐다.
수출 전망 어두워 건전성 개선 '난항'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이 건전성 개선에 고전하고 있으나, 지역기업 전망이 어두워 내다보기도 쉽지 않다. 트럼프 2기 관세 변동성과 해상운임 탓이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교역 상대국들에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 공정성을 위해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미국 기업이 외국에 수출할 때 부담하는 관세와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수입품에도 적용해야 한다는 뜻이다. 한미 FTA와는 별개로 부과 가능성이 높아 우리나라도 대상국으로 꼽힌다.
관세가 부과될 경우 기업은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비용이 대폭 증가하기 때문으로 지난 트럼프 1기 때도 중국에 관세를 부과해 중국 수출에 악영향을 미친 바 있다. 우리나라의 제조업이 몰려있는 부산 지역도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부산지역 수출 동향은 좋지 않은 상황이다.
부산본부세관에 따르면 지난 1월 부산지역 수출은 1.2% 감소했다. 무역수지는 2억200만달러 적자다. 수출이 2개월 연속 감소한 탓이다. 전년 동기 대비 부산지역 수출은 1.2% 감소한 10억2300만달러인 반면 수입은 같은 기간 2.5% 증가한 12억2500달러를 기록했다.
무역수지 추이는 더욱 불안하다. 7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8월 2억4400만달러에서 적자 규모를 줄이는 듯 하다가 1월에는 다시 2억원 이상의 적자로 확대됐다.
부산지역의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승용자동차, 선박, 화공품, 자동차부품 등이 있다. 이중 승용자동차와 선박은 증가한 반면 화공품을 비롯 철강제품과 자동차부품의 감소 폭이 커 수출 전반이 하락세를 보였다.
트럼프 관세로 인한 경제 위기가 닥칠 경우 은행권은 공동 대응을 한다는 입장이다.
은행업계 한 관계자는 “만약 실제로 이러한 사태가 발생된다면 은행권 공동 대응을 할 것으로 예상한다”라면서 “정부와 전 은행권이 소통해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이 실행한 대출 중 상당 부분이 제조업에 몰려있는 것도 두 은행 건전성을 위협하는 요소다. 지방은행의 경우 전체 여신의 50% 이상을 지역 기업에 실행해야 한다. 지난해 말 대출 잔액 기준 부산은행 대출 15.5%, 경남은행 24.7%가 제조업에 실행됐다. 시중은행이 대기업 등 우량 여신으로 건전성을 개선할 여지가 있는 한편, 지방은행은 중소기업대출 50% 이상 규제가 걸려있어 이마저도 쉽지 않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지난해 말 제조업 여신 잔액은 9조1995억원, 경남은행은 10조1541억원이다. 부산은행의 경우 1차 금속 및 금속제품 제조업에 2조5942억원을 내줘 가장 규모가 컸다. 반면 경남은행은 자동차 및 운송장비제조업에 2조6199억원, 1차 금속 및 금속제품 제조업에 2조4192억원, 기계 및 장비제조업에 2조3736억원의 대출을 실행했다.
세 업종이 전체 여신 잔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만 해도 18.1%에 달한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이 대출해 준 기업은 원료를 수입해 제조하는 곳이 대다수인데, 수출을 기반으로 한 기업에 납품하는 경우도 많아 수출 변동성에 오히려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BNK금융 관계자는 "공동 대응할 경우 부산은행과 경남은행도 적극 참여할 예정"이라며 "건전성 제고를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은 기자 lisheng124@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