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선재 인턴기자·박현광 기자]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해 12·3 내란 당시로 돌아가더라도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 표결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권 위원장은 17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서 '12월 3일로 돌아가서 국회에 간다면 어떻게 표결했을 것이냐'라는 질문에 "국회 현장에 있었더라도 (계엄 해제 결의안 투표에) 참여 안 했을 것"이라며 "아직 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우리가 무조건 덮어놓고 야당과 똑같은 행동을 하는 게 여당으로 할 행동이 아니라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패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뉴시스)
당시 권 위원장을 포함해 대다수의 국민의힘 의원들은 국회 본회의장이 아닌 국민의힘 중앙당사에 모여 있었습니다.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 표결 자체에 참여하지 않아 내란에 동참했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이에 국민의힘은 그동안 윤석열씨 탄핵을 반대하면서도 비상계엄은 부적절했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날 비상계엄이 부적절했다는 기존 입장마저 뒤집은 셈입니다.
권 위원장은 당시 상황을 떠올리며 "처음엔 (계엄 선포가) 가짜뉴스인 줄 알았다. 대통령 방송만 봤을 때 납득이 잘 안됐다"면서도 "대통령이 말 못 하는 이유가 있는지 (확인한 뒤 판단해야 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일단 들어보고 저 정도 발표된 게 맞다면 반대 입장이지만 아직 그게(비상계엄을 선포한 이유) 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우리가 무조건 덮어놓고 야당과 똑같은 행동을 하는 게 여당으로 할 행동 아니라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권 위원장은 당시 비상계엄 해제에 동참해달라고 독려했던 한동훈 전 당대표를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당시에 한동훈 대표가 저와 똑같은 정보만 가지고 있었을 텐데 계엄이 위법·위헌이라고 말한 부분은 성급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한 전 대표는 12월4일 새벽 페이스북에 비상계엄과 관련해 "반헌법적 계엄에 동조하고 부역해서는 절대 안 됩니다"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권 위원장은 '군 병력이 국회를 단전하는 것만으로도 탄핵 대상이 아니냐'라는 질문에 "적법하게 계엄을 선포했다면 각 기관에 (병력을) 보내는 건 맞지만 국회에 보냈던 건 문제 있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국회의 행동에 제약을 걸려고 했던 건지는 헌재에서 심판 중 다퉈지는 쟁점 중 하나"라고 구체적인 답을 회피했습니다.
권 위원장은 '국회의원 체포 지시가 있었다'는 부분과 관련해선 "저나 국민의힘 의원들 입장에선 (국회의원 체포지시가) 분명하게 없었다는 게 아니라 있었다고 판단하기 이른 상황"이라며 "앞으로 사법기관에서 잘 판단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이선재 인턴기자 seonjaelee96@etomato.com
박현광 기자 mua@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