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용윤신 기자]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첨단기술, 자동화, 로봇의 확산에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또 고숙련 노동력 수요가 증가하는 만큼, 인력부족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의약품 등 일부 제조업 분야에 대한 청년층 고숙련인력의 집중 육성이 절실하다는 분석이다.
9일 정부와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올해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2'에서는 보스턴다이내믹스의 4족보행 로봇 스팟의 공연부터 키논 로보틱스 로봇 제품군(배달 로봇·호텔 로봇·하스피탈리티 로봇·소독 로봇)과 현대중공업 로봇 카페, 두산 협동 로봇 등 로봇 전시가 봇물을 이뤘다.
기술 발전으로 달라질 머지않은 미래의 모습을 내다볼 수 있는 CES 2022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가 로봇이라는 얘기다. 이는 앞으로 다가올 생산연령인구의 감소 현상과 무관치 않다.
최근 국회예산정책처가 공개한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를 보면, 산업에서 1인당 기계장치 유형자산이 1% 증가할 때, 1인당 매출액은 0.094% 증가한다. 반면 고령근로자 비중이 1% 증가할 때 1인당 매출액은 0.088% 감소했다.
산업에서 자동화의 진전은 노동생산성을 증가시키며 인력고령화는 노동생산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고령근로자 비율이 높아 노동생산성이 추락해도 자동화를 통해 노동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얘기다.
이미 고령화를 맞고 있는 선진국들은 자동화와 관련된 로봇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과 관련된 자동화 기술도 도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제 로봇 연맹 집계를 보면, 2020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운용중인 산업용 로봇은 301만5000단위(unit)로 2010년에 비해 3배 가까이 증가했다. 매년 설치하는 로봇은 2010년대 중반 이후 급증해 2020년에는 38만4000단위로 설치됐다. 특히 아시아·호주 지역의 산업용 로봇 설치 규모가 매우 높다. 국가별로는 중국, 일본, 미국, 한국, 독일, 이탈리아, 대만, 프랑스 등의 로봇 설치규모가 높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예정처 관계자는 "이러한 자동화의 추진은 인구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을 생산성 향상을 통해 일정 정도 보완할 수 있으며 자동화와 로봇의 확산은 기존 노동투입으로 더 많은 생산을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9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행한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를 보면 산업에서 1인당 기계장치 유형자산이 1% 증가할 때, 1인당 매출액은 0.094% 증가한다. 사진은 생산 자동화 설비치. 사진/뉴시스
고숙련 노동력의 필요성도 요구된다.
산업연구원(KIET) 측은 의약품 등 화학제품 제조업과 운송장비 제조업 분야를 지목하고 있다. 해당 분야는 인구고령화에 따라 산업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생산에 투입할 인력이 비교적 젊어 향후 인력수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산업연이 2008~2018년의 지역별 고용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계산한 결과를 보면, 한국의 산업 그룹별 고용은 서비스업 68.47%, 제조업 16.7%, 건설업 7.3%, 농림어업 6.26%, 전기·가스·수도업 0.65%, 광업 0.07%의 순서로 분포돼 있다.
연령별 제조업 고용비중은 12~23%로 서비스업에 비해 절대적 수치로는 낮지만, 젊을수록 제조업 종사 비중이 크다는 방증이다. 더욱이 제조업 내에서도 고위기술 산업에 종사하는 경향이 높다.
제조업 내에는 25~45세와 45~64세 두 그룹이 양분화돼 있다. 이 중 젊은 연령 그룹은 전자기기, 기계, 자동차 제조업에 진입한 경향이 짙다. 화학, 플라스틱, 금속, 정밀기기, 전기장비, 기타 운송장비에도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다.
반면, 고령 그룹은 식료품, 섬유, 가죽, 목재, 의복제조업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흔히 사용하는 핵심생산인구인 25~49세 기준과 달리 우리나라 고위기술 제조업은 49세보다 더 낮은 연령대를 보이고 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IKEI) 경제연구실장은 "4차 산업혁명 유망 분야 고숙련 노동력 부족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청년 교육에 힘쓰는 등 국가적 차원의 정책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종=용윤신 기자 yonyon@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