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창경 재테크전문기자] 올 봄 증시 상승을 이끄는 주도주로 떠오른 건설주들이 정부의 수도권 공공택지 발표 연기와 오세훈 서울시장의 투기수요 차단성 경고 발언에 움찔했다. 하지만 발표가 연기됐을 뿐 백지화된 게 아니고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등도 예정돼 있어 건설주 상승세는 더 이어질 전망이다.
지난 29일 정부는 상반기 중 발표할 예정이었던 수도권 11만가구 등 전국 13만1000가구를 공급하는 신규 택지 후보지 발표를 연기했다. 후보지 곳곳에서 투기 정황이 포착됐기 때문이라는 것이 연기의 이유였다.
전국 13만가구를 공급하는 계획은 2.4부동산대책 후속으로 예정된 것이었다. 정부는 지난 2월4일 서울 도심을 소규모 주택정비, 주거재생혁신지구 등으로 공공재개발해 2만5000호를 공급하겠다며 서울 도봉구, 영등포구, 은평구, 금천구 등 12개 후보지를 선정해 발표한 바 있다.
또한 이날 오세훈 서울시장도 최근 강남 등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며 교란행위를 엄벌하겠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오 시장은 정상적 시장 기능을 훼손하는 투기적 행위가 남아 있는 한 재건축과 재개발 정상화 공약을 제대로 추진할 수 없다며 불법 행위에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부동산 가격 상승에 찬물을 끼얹은 소식이 연이어 나오면서 3월부터 상승세를 이어가던 건설주들도 약세로 돌아섰다. 30일 현대건설은 7.18% 급락했고 GS건설(-5.66%)과 대우건설(-3.90%), DL이앤씨(-1.85%) 등도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일부에서는 3일부터 재개되는 공매도가 단기간 많이 오른 대형 건설주들을 멈춰 세우는 데 일조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정부와 서울시의 이같은 대응에도 건설주의 강세를 꺾지는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건설주들은 업황 개선과 1분기 실적 증가, 컨센서스 상향조정 등 근본적인 체질 개선에 힘입어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오 시장 또한 투기수요를 막겠다고 나섰지만 시장원리에 의한 자연스러운 시세 상승은 문제될 게 없다는 시각이어서 주요 재건축 후보 단지들을 계속 묶어 두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19년 부진했던 인허가 물량도 2020년 들어 조금 회복했고 올해는 더 늘어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3월 전국 주택 인허가 실적은 4만5354호, 서울은 6691호로 지난해 3월보다 각각 34.8%, 4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인허가 지표는 언젠가 착공할 물량이기 때문에 가까운 미래의 주택 공급 계획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참고자료로 쓰인다.
LH 직원들의 투기로 인해 신도시 택지 발표까지 연기됐지만 올해 예정됐던 3기 신도시 사전청약은 일정대로 진행될 전망이다. 7월에는 인천 계양과 남양주(진접), 성남 복정, 의왕 청계, 위례에서, 10월엔 남양주(왕숙), 군포, 수원, 의정부 등에서 사전청약을 받는다. 또 11월, 12월에도 청약을 받아 4차례 총 3만가구 이상이 나온다.
이와 별개로 둔촌주공 재건축 단지가 오는 여름 분양을 하는 등 개별 분양단지도 적지 않다. 둔촌주공은 전체 1만2032세대에 이르는 대단지다. 경기도 광명시 재개발도 계속 나온다. 한 구역에 3000세대가 넘는 곳도 있다.
게다가 최근 정부가 지역균형발전 취지로 사회간접자본(SOC) 건설에 수반되는 예비타당성 조사 기준을 전면 개편하는 방안이 논의될 것이라는 보도까지 나왔다.
하나금융투자는 리포트에서 “건설주들이 크게 상승했지만 1분기 실적 시즌을 거치면서 단기수혜 종목들이 어느 정도 추려질 것”이라며 “주택공급 선행지표가 꾸준히 개선되고 있어 건설업종에 대해 비중확대 전략이 유효하다”고 밝혔다.
서울시가 재건축단지 발 가격 급등에 놀라 지금은 투기 차단에 신경을 쓰는 모습이지만 결국 재건축, 재개발이 진행되는 곳이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한다면 대형 건설사에 관심을 갖는 것이 합리적이다. 지난 몇 년간 강남 등 주요 지역에서 진행된 재건축 일감은 대형사들이 싹쓸이했다. 서울 주요지역에서 진행되는 정비사업도 대형 건설사들 위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3월 이후 주요 건설주 중에서 주가가 가장 많이 오른 종목도 현대건설(26.63%)이었다. 대우건설이 25.89%로 뒤를 이었다.
김창경 재테크전문기자 ckkim@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자본시장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