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O, 해운 탄소세 도입할까…K-조선 기대감↑
IMO 회의서 탄소세 최종 조율 예상
친환경 선박 강점…탄소세 '호재'로
탄소세액 적으면 효과 미비할 듯도
2025-04-08 16:11:51 2025-04-08 17:33:56
[뉴스토마토 박창욱 기자] 국제해사기구(IMO)가 이번 주 해운 탄소세 시행안을 확정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조선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탄소세가 시행되면 해운업계는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친환경 선박 도입을 서두를 수 밖에 없는 탓에 친환경 선박 기술력이 뛰어난 국내 조선사의 수주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HD현대중공업이 건조한 LNG운반선. (사진=뉴시스)
 
8일 업계와 외신 등을 종합하면, IMO는 7일(현지시각)부터 11일까지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83)’에서 탄소세 금액을 최종 조율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회의에서 탄소세가 채택될 경우 발효는 2027년부터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탄소세 도입은 국내 조선업계로 호재가 아닐 수 없습니다. 현재 친환경 선박과 관련해 국내 조선사들의 기술력과 경험은 해외 조선사들에 비해 앞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최근 국내 조선사들의 친환경 선박 수주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배경입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올해에만 친환경 선박 18척을, 한화오션은 8척을 수주한 바 있습니다. 지난해에는 전세계 LNG선 발주량의 80%를 국내 조선업계가 수주했습니다.
 
세계은행은 온실가스 t당 100달러 수준으로 탄소세가 시행될 시, 올해부터 2050년까지 매년 글로벌 해운업계가 부담해야 하는 금액은 최대 600억달러(약 88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해운업계가 친환경 선박 도입에 속도를 낼 수 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탄소세가 시행되면 국내 조선사가 시장에서 한층 더 유리한 위치를 점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임영섭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탄소세가 도입된다면 국내 조선사들의 친환경 선박 수주량이 더 많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습니다.
 
다만 탄소세 금액이 낮으면 효과가 미비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한승한 SK증권 연구원은 “세금이 t당 100달러 이상이라면 선박 건조 계약금 상승을 노려볼 수 있다”며 “t당 50달러 이하라면 기대 효과는 미미할 것”이라고 봤습니다.
 
탄소세액을 둘러싼 나라별 이견도 엄연합니다. 현재 회원국 사이에서 논의되는 금액은 t당 18달러(약 2만 6454원)부터 150달러(약 22만원)까지 편차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유럽연합(EU), 일본, 영국 등 주요 해운국들은 낮은 금액을 주장하는 반면, 마셜군도 등 도서국가들은 강력한 탄소세 부과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번 회의에서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올해 11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가 열릴 때까지 유예됩니다.
 
미국의 정책 기조 변화도 동력이 떨어지는 요인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각종 친환경 규제를 완화하고 있기에 탄소세 도입도 미뤄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앞서 정부도 “IMO 탄소세 도입 추진은 미국의 반대로 지연될 우려가 있다”며 비관적 전망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박창욱 기자 pbtkd@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오승훈 산업1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