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공급·수요 간 '수급 불일치' 확대…"고용재조정 유도해야"
미스매치 지수 4분기 11.1% 급등
실업률 상승·채용부진 부정적 영향
고착화될 경우 고용회복 상당 지연
2021-03-01 12:00:00 2021-03-01 12:00:00
[뉴스토마토 이정하 기자] 코로나19 충격 이후 노동시장에 노동력의 공급과 수요가 맞지 않은 ‘수급 불일치(미스매치)’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노동시장의 미스매치가 구조적으로 고착화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산업간 고용재조정 유도’를 통한 노동생산성의 제고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1일 한국은행이 조사통계월보를 통해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노동시장 미스매치 상황 평가' 자료를 보면 지난해 1분기 6.9%였던 미스매치 지수는 2분기 7.3%, 3분기 9.2%로 상승한 후 4분기 11.1%로 급등했다. 이는 코로나 19 이후 산업간 구인·구직 격차 확대와 노동시장의 효율성 저하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2018~2019년 평균 미스매치 지수는 6.4%였다.  
 
노동시장 미스매치란 학력이나 기술 등의 조건이 일치하지 않아 노동 수요와 공급이 서로 연결되지 못하는 상황을 말한다. 미스매치지수가 올라갈수록 노동 수요와 공급이 서로 연결되지 않는 정도가 크다는 의미다.
 
노동시장의 매스매치 심화는 실업률 상승, 채용 부진, 노동생산성 하락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감을 불러온다. 실제 지난해 노동시장에서 미스매치가 확대되면서 실업률이 상당폭 상승했다. 2015~2019년 평균 수준과 비교하면, 2020년 중 미스매치 실업률의 실제 실업률 상승에 대한 기여율은 33.8%였다. 
 
코로나 이후 미스매치가 확대된 것은 감염병 충격이 대면서비스업 등 일부 취약부문에 집중된 데다 취업난이 가중되면서 노동시장의 효율성이 저하된 데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은 관계자는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미스매치 지수가 크게 상승한 뒤 높은 수준을 지속했던 점에 비추어 볼 때 이번 충격이 구조적 문제로 고착화될 가능성도 상존한다"며 "향후 고용상황이 다소 개선되더라고 미스매치 심화로 인한 채용 부진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노동시장의 미스매치가 고착화될 경우 낙인효과 등으로 고용회복이 상당기간 지연되고 비효율적인 노동배분으로 인한 노동생산성 손실이 더욱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산업간 노동배분의 비효율성으로 인한 노동생산성 손실은 1.9%였다. 2015년 0.6%였던 노동생산성 손실은 2016년 0.8%, 2017년·2018년 0.9%, 2019년 1.1%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공급·민간 고용지원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등 기업과 구직자간 정보 비대칭성을 완화해야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아울러 인력이 부족한 산업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을 강화하는 등 산업간 고용재조정을 유도, 노동생산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게 한은 측의 설명이다. 
 
한은 관계자는 "도소매, 숙박음식, 운수 등 노동생산성이 낮은 산업을 제조업, 건설업 등 유휴노동력이 높은 산업으로 재조정함으로써 매칭 효율성 하락을 완화하고 노동생산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미스매치 지수는 지난해 4분기 11.1%로 급등했다. 사진은 희망일자리센터에서 구인 게시물을 보고 있는 시민 모습. 사진/뉴시스
 
이정하 기자 ljh@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