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송정은 기자] 다음 달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이 1100가구 수준에 그치며 최근 10년 사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현상이 일시적 감소가 아닌 ‘공급 공백기’의 시작이라며 중장기적인 수급 불균형 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10월 수도권 입주 물량 1100여가구…2015년 5월 이후 최저
22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 자료에 따르면 오는 10월 전국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총 1만232가구로 전월의 1만916가구와 유사한 수준입니다. 그러나 수도권 입주 물량은 1128가구에 그치며 2015년 5월 1104가구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은 46가구에 그치며 경기는 742가구, 인천은 340가구 수준입니다.
반면 지방 입주 물량은 9104가구로 전월 대비 65% 증가했습니다. 특히 경북(3672가구)과 강원(2368가구)에 대규모 단지 입주가 집중돼 전체 지방 입주 물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그래픽=뉴스토마토)
이 같은 수도권 입주 물량 감소는 2~3년 전 기준금리 급등과 PF 위기 등에 따른 착공 감소의 결과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연구소장은 “현재의 입주 물량 부족은 2023년 분양 시장 위축의 결과”라며 “당시 금리 급등과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위기 등의 영향으로 공급이 크게 위축됐고, 그 여파가 3~4년 뒤인 지금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이번 감소가 단발성 현상이 아니라 향후 몇 년간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 더 큰 문제”라고 덧붙였습니다.
입주 감소, 매매·전세 시장 불안 이어져…“공급 확대 체감 시간 걸릴 듯”
전문가들은 입주 물량 감소가 매매와 전세 시장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진단합니다. 특히 전세시장에서는 물량 부족으로 인한 매물 희소 현상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김인만 소장은 “전세 매물은 기존 집주인이 내놓거나 신규 입주 단지에서 공급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입주 물량이 줄고 계약갱신청구권·실거주 의무 등의 제약까지 겹치면서 매물 순환이 사실상 멈춰 있다”며 “정부가 이를 전세대출 규제 등으로 억제하려 하지만 부동산 거래 현장에서는 전세 매물을 찾는 것이 하늘의 별 따기”라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지난 9월7일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발표하고 2030년까지 총 135만호를 착공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이 가운데 수도권이 80만호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데요. 기존의 인허가 중심 공급 관리 체계를 ‘착공 기준’으로 전환하며 공급 시차를 줄이겠다는 방침입니다.
서울 여의도의 한 재건축 대상 아파트 단지. (사진=송정은 기자)
하지만 착공에서 입주까지 평균 3~5년이 소요되는 만큼, 단기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공급 증가 효과는 제한적이라는 분석도 많습니다.
김인만 소장은 “내년에 착공하더라도 실제 입주는 2029년 정도가 되어야 가능하다. 서울의 경우 착공조차 현실화되지 못한 상태여서 공감이 되지 않는다는 반응이 많다”며 “경기도 3기 신도시 외에는 실질적인 공급 방안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미 안정화된 지역에서 추가 공급이 가격 안정으로 이어질 지 미지수”라고 말했습니다.
송정은 기자 johnnyso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