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양시의 한 LH 임대주택 단지 모습. (사진=송정은 기자)
[뉴스토마토 송정은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22일부터 무주택 청년·신혼부부와 중산층·서민층 등을 위한 매입임대주택 2025년 3차 청약 접수를 시작합니다.
매입임대 사업은 LH가 도심 내 교통 접근성이 좋아 직주근접이 가능한 신축과 기존 주택을 매입해 저렴하게 임대하는 제도입니다.
LH는 이번 공고를 통해 전국에 총 2643호를 공급합니다. 유형별로는 청년 매입임대주택 1232호,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 1411호입니다.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19세∼39세 청년, 대학생, 취업준비생 등을 대상으로 공급하는 주택입니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이 591호, 그 박의 지역은 641호입니다. 임대 조건은 인근 시세의 40∼50% 수준이며, 최장 10년(입주 후 혼인한 경우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학업·취업 등의 사유로 이주가 잦은 청년층의 수요를 반영해 주택 여건에 따라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1인 거주에 최적화된 빌트인 시설을 갖춰 공급될 예정입니다.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은 결혼 7년 이내 (예비)신혼부부, 신생아 가구 등을 대상으로 공급하는 주택입니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이 404호, 그 밖의 지역은 1007호이며 소득·자산 기준 등에 따라 신혼·신생아Ⅰ, Ⅱ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신혼·신생아Ⅰ 매입임대주택은 다가구, 다세대주택 등을 시세 30∼40% 수준으로 공급하는 유형으로 최장 20년까지 거주 가능합니다. 신혼·신생아Ⅱ 매입임대주택은 아파트·오피스텔 등을 시세 70∼80% 수준의 준전세형(임대 조건의 80% 보증금, 월 임대료 20%)으로 공급하는 유형으로 임대료 부담이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거주 가능 기간은 최장 10년(자녀가 있는 경우 14년)입니다.
LH는 22일부터 24일까지 3일간 신청받은 뒤 9월 중 서류심사 대상자를 안내하며, 소득·자산 등 입주 자격 검증을 거쳐 12월 중 예비 입주자를 발표할 계획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LH청약플러스에 게시된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LH콜센터를 통한 전화 상담도 가능합니다.
송정은 기자 johnnysong@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