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용준 기자] 전공의 단체들이 여전히 무기한 총파업 강행 방침을 밝히면서 의료 공백 장기화로 인한 시민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전공의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는 29일부터 30일 오전까지 파업 지속 여부를 논의한 결과 무기한 총파업을 선택했다.
재투표까지 실시해 의결권을 행사한 186명 중 파업 강행이 134명, 중단이 39명, 기권이 13명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대전협은 “모든 전공의는 대전협 비대위 지침에 따라 단체행동을 지속한다”며 “대의원은 이후로 7일 동안 모든 단체행동 관련 주요 의사결정을 비대위원장에 위임한다”고 공지했다.
대전협 비대위는 그동안 보건복지부, 국회, 의료단체 등과 논의를 지속해왔다. 지난 28일엔 국회보건복지위원회 한정애 위원장을 만나 관련 법안 추진 중단 및 국회 내 협의기구 설치 등을 논의했고, 같은 날 대한의사협회(의협) 임시회관에서 열린 한국의학교육협의회(의교협) 긴급 확대 연석회의에 참여해 의사파업과 정부와의 협상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복지부는 깊은 유감을 나타내면서 진료 현장 복귀와 함께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을 거듭 촉구했다. 복지부는 “대전협이 집단휴진을 지속한다는 결정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면서 “코로나19의 엄중한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는 의사로서 소명을 다할 수 있도록 진료 현장으로 즉시 복귀해 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대전협이 이날 파업 지속을 결정함에 따라 상급종합병원들의 수술 ·입원 진료 등의 공백은 이어지게 됐다. 집단휴진이 길어지면서 일선 병원에서는 외래진료를 줄이거나 수술일정을 연기하는 등 집단 휴진의 여파가 커지고 있다. 대전협은 의과대학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 등 정부의 주요 의료정책에 반발하면서 지난 21일부터 일주일 넘게 무기한 집단휴진을 벌이고 있으며, 집단휴진에는 전임의도 합류한 상황이다.
지난 26일 밤 정체불명의 약물을 마신 40대 남성이 위세척 등을 위해 부산·경남지역 병원을 3시간 동안 찾아다니다 중태에 빠졌다. 119구급대는 대학병원 6곳과 2차 병원 7곳에 20여차례 환자 수용 가능 여부를 문의했지만 불가능하다는 대답만 들었다. 이 남성은 27일 새벽에야 울산대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치료를 받다가 결국 숨졌다.
경기 의정부시에서도 28일 새벽 5시쯤 심장마비로 쓰러진 30대 남성이 치료해줄 병원을 찾지 못해 숨졌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구조대원은 병원 4곳으로부터 수용 불가 통보를 받았다. 유족들은 집단휴진 여파로 제때 치료를 받지 못했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를 비롯한 환우단체 회원들이 29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정문 앞에서 의사의 집단행동 중단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박용준 기자 yjunsay@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