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칼럼)해외 수주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2018-10-31 13:21:45 2018-10-31 13:24:45
 
최용민 산업2부 기자.
건설사 일감은 크게 해외사업과 국내사업으로 나뉜다. 업체별로 해외사업에 특화된 곳이 있고, 국내사업에 집중하는 회사가 있다. 통상 대형 건설사들은 해외사업 비중이 높고, 중견 건설사들은 국내사업을 통해 매출을 올리는 편이다. 이 때문에 해외공사 수주에 빨간불이 켜지면 대형 건설사들부터 비상이 걸린다. 지금 국내 건설산업은 해외사업 수주에서 빨간불이 켜진 상태다.
 
해외건설종합종보서비스에 따르면 올해 해외공사 수주액은 10월 31일 기준 226억1412만달러로 전년 동기(226억781만달러)와 비슷한 수준이다. 2014년 660억달러를 기록한 이후 회복하지 못하고 여전히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올해도 수주액 300억달러를 넘지 못하면 2016년부터 3년 연속 300억달러 수주벽을 넘지 못하게 된다. 한 때 중동을 중심으로 건설 붐을 일으키며 세계를 놀라게 했던 대한민국 건설의 위상이 크게 꺾이고 있는 것이다.
 
과거 100달러 시대에 비하면 국제 원유 가격은 여전히 저조하다. 이로 인한 중동 국가들의 발주 감소가 국내 건설사들의 수주 감소로 이어졌다. 중동 국가들이 인프라에 투자하고 싶어도 원유로 돈을 벌지 못하고, 원유 가격이 낮으니 원유 공장 등을 지을 필요가 없어졌다. 이 때문에 최근 해외공사 수주는 대부분 중동이 아닌 아시아 신흥국에서 이뤄진다. 올해 수주액 중 53.7%가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에서 따낸 공사다.
 
아시아에서 수주가 이뤄진다고 마냥 안심할 수는 없다. 시간이 지나 아시아 국가 발주가 없어진다면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공사는 사실상 막을 내릴 수밖에 없다. 여기에 중국 등 다른 국가 건설사들의 저가 수주 공세가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과거 국내 건설사들의 주요 무기였던 가격 경쟁력이 이제 더 이상 먹혀들지 않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지 않으면 해외건설 현장에서 국내 건설사들을 찾아보기 힘들어질 수 있다.
 
세계 건설시장 발주 방식이 단순 도급형에서 민관협력 투자개발형(PPP) 사업으로 변하고 있는 것도 우리 건설사에게는 큰 도전으로 다가온다. PPP 사업은 민간기업이 공공인프라를 건설하고 운영을 통해 수익을 올리는 방식이다. 이 때문에 사업 시작부터 시공사의 금융동원 능력이 중요해졌다. 현재 국내 건설사들은 금융동원 능력이 높지 않아 적극적으로 수주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해외공사 수주액 중 PPP 사업은 5%도 안 된다. 문제는 이런 발주가 세계 건설 발주의 30%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정부도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7월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를 설립했지만, 아직까지 건설사에 크게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특히 KIND가 PPP 사업에 지원할 수 있는 자금이 600억원에 불과하다는 말이 나오면서 건설사들의 기대감이 낮은 것이 사실이다. 업계에서는 해외건설 수주 확대를 위해 코이카 공적개발원조 등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기능들을 합쳐 종합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말까지 나온다.
 
건설사도 마냥 손 놓고 정부 지원만 바라볼 수는 없다. 정부가 금융을 지원해도 기술 경쟁력에서 밀리면 수주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국내 주요 건설사들은 대부분 기술개발에 매출액의 1%도 투자하지 않고 있다. 유럽 건설사에게 기술에서 밀리고, 중국 건설사에게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면 국내 건설사들이 설 자리는 없다. 해외공사 수주 확대를 위해 정부와 건설사들의 종합적인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용민 산업2부 기자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선영 아이비토마토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