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현대차 노조, 7년연속 파업 명문없는 선택
2018-07-16 08:00:00 2018-07-16 08:00:00
"현대자동차 노조도 사측이 자신들의 요구안을 받아들일 거라고 생각하지는 않았을 겁니다. 파업을 위한 명분 쌓기 과정이고, 매년 되풀이되는 연례 행사죠."
 
현대차 노조가 지난 12일 부분파업을 진행하면서 2012년 이후 7년 연속 파업에 돌입하자 업계 관계자가 말한 내용이다. 18차 교섭이 16일로 예정됐지만 현재까지 노사 간 의견차를 감안하면 타결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게 업계 전반적인 분위기다. 
 
올해 교섭 과정을 지켜보면서 노조는 사측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조건을 내걸고 파업의 명분을 만든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노조는 올해 기본급 대비 11만6276만원 인상, 지난해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등을 요구했다.
 
노조의 기본급 인상 규모는 지난해 임단협에서 노사가 합의했던 5만8000원의 두 배에 달한다. 지난해 현대차의 순이익은 4조5747억원, 조합원 수는 약 5만명인 점을 감안하면 노조가 요구하는 1인당 성과급 규모는 2700만원 수준이다. 현실적으로 사측이 수용할 수 없는 조건이다. 조건 없는 정년 60세, 해고자 원직 복직 및 고소·고발 취하 등의 요구도 마찬가지다. 이때문에 노조가 파업을 위한 명분을 쌓으려 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현대차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5.5%나 급감한 6813억원에 그칠 정도로 경영환경이 어렵고 미국 트럼프 정부가 수입산 자동차에 관세 부과 방안을 검토하는 등 향후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점에서 노조의 요구에 난색을 표했다. 
 
노조가 광주형 일자리에 반대하면서 임단협과 연계하겠다고 밝힌 점도 비판의 대상이다. 현대차는 광주시와 자동차 생산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참여가 확정된다면 1000cc 미만의 경형 SUV를 위탁 생산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지역 일자리가 늘어나고 현대차도 국내 완성차 5개사 평균 연봉인 9200만원의 절반 수준인 4000만원대의 임금으로 차량을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광주형 일자리는 윈-윈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노조의 강력한 반발로 광주시와 현대차의 합작 공장 설립은 기약없이 지체되고 있다.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로 인해 조합원의 임금 하향 평준화와 구조조정이 우려된다고 하지만 '밥그릇 챙기기'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오히려 국내 자동차 업계의 고질적인 문제로 거론되는 '고비용 저효율' 구조를 탈피하려는 시도를 봉쇄한다는 지적마저 나온다. 
 
현대차는 지난해 창사 이래 최초로 임단협이 해를 넘겨 올해 1월말 가까스로 타결됐다. 올해도 연내 타결을 장담하기 어렵다. 현대차 노조의 명분 없는 파업이 계속된다면 '귀족 노조'라는 오명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김재홍 기자 maroniever@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