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용준 기자] 2012년 819개에 그쳤던 서울 사회적경제기업 수가 5년만에 5배 가까이 늘어났다.
올해는 공공구매를 1300억원 규모까지 늘리는 등 판로 확대로 기업 수를 4500개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1일 서울시에 따르면 사회적경제기업은 단순히 이익만을 추구하는 시장경제에서 벗어나 여성·장애인·어르신 등 취약계층 일자리와 복지·돌봄 같은 사회서비스를 동시에 창출하면서 매출도 올리는 기업을 말한다.
서울시가 사회적경제 분야를 지난 2012년부터 선도적으로 집중 지원한 결과, 819개(2012년)였던 사회적경제기업 수가 5년 새 3914개(2017년)로 5배 가까이 증가했다.
서울시는 2012년 지자체 최초로 종합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조례 제정,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설치 등의 인프라를 갖춰 단순 보조금 지원이 아닌 인재양성, 경영지원, 연구, 홍보 등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에 나서고 있다.
서울시는 ‘착한 경제’를 일구는 사회적경제기업을 올해 지금보다 15%(586개) 많은 4500개까지 확대 육성해 신규 일자리 창출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위한 핵심전략으로 올 한 해 총 1300억원 규모로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서비스 공공구매를 추진해 사회적경제기업들의 판로와 시장 확대를 지원한다.
공공구매는 중소기업과 사회적경제기업의 애로사항 중 하나인 판로문제 해결을 위해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등이 이들 기업의 제품을 우선적으로 구매하도록 하는 제도다.
작년에 이미 작년 목표액 1000억원 대비 15.7%나 많은 1157억원을 공공구매해 목표액을 초과달성한 바 있으며, 이에 힘입어 올해 목표액을 30% 늘어난 1300억원으로 설정했다.
서울시는 자치구와 투자출연기관을 직접 방문해 공공과 사회적기업을 연결해주는 ’공공구매 영업지원단‘ 활동을 강화한다.
특히 기존 제품 중심에서 돌봄·도시재생·행사 등 매출효과가 큰 서비스 용역으로 확산하고자 집중 마케팅을 전개할 계획이다.
또 자치구, 투자출연기관, 교육지원청 등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공공구매박람회’를 개최, 공공기관과 사회적경제기업간 접점을 확대하고 사회적경제기업 제품에 대한 인식 개선에도 나설 예정이다.
현재 시 본청·사업소, 자치구, 투자출연기관에만 적용되고 있는 공공구매 의무화를 내년부터 복지시설 등 시비로 운영되는 민간위탁시설까지 확대 추진한다.
올해는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구매를 권고하고 내년부터 공공구매가 의무화 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서울시는 1.3%에 머물고 있는 사회적경제기업 공공구매 비율을 2022년까지 3%대(2000억원 수준)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서울 금천구청에서 열린 찾아가는 사회적경제 공공구매 박람회 참석자들이 상담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박용준 기자 yjunsay@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