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플레이, 올해 한국 매출 3조…세금회피 논란 여전
매출 전년 대비 약 71% 증가…국내기업과 역차별 본격적인 논의 꿈틀
2017-12-14 06:00:00 2017-12-14 06:00:00
[뉴스토마토 정문경 기자] 구글의 애플리케이션(앱) 장터인 '구글플레이'의 올해 국내 매출이 처음으로 3조원을 넘으며 전년 대비 약 71%가 증가했다는 추정치가 나왔다. 이는 올해들어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에 대형게임사 위주의 신작들이 쏟아지면서 시장 규모가 승승장구했기 때문이다. 시장이 커진 반면 매출의 30%를 수수료로 떼가고 있는 구글은 국내에서 확실한 매출 규모를 공개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한 세금 회피의 문제는 여전히 논란이 뜨겁다. 
 
13일 앱분석업체 아이지에이웍스에 따르면 올해 1∼11월 구글플레이의 한국 누적 매출이 3조1600억원으로 추산되며 이는 지난해 1∼11월의 매출 추정치(1조8447억원)와 비교해 약 71.3%가 늘었다. 구글플레이는 인앱 결제와 유료앱 구매로 수익을 내고 있지만 유료앱 구매 비율은 1% 미만으로 추정된다. 구글플레이는 인앱 결제에서 수수료 명목으로 30%를 떼가고 있다. 이 중 1조원 가량은 수수료 수익을 챙기는 것이다.  
 
한국무선인터넷산업연합회에 따르면 올해 국내 구글플레이의 매출 점유율은 61.2%로 예상되고, 전세계 스마트폰 운영체제(OS) 시장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뷰에 위치한 구글 본사. 사진/AP=뉴시스
 
올해 구글플레이의 매출 증가의 배경에는 국내 모바일게임 활성화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모바일시장은 국내 주요 업체들이 연이어 전에 없던 최고의 흥행성적을 냈다. 모바일게임업체인 넷마블게임즈(251270)는 올해 연매출이 3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대표작인 '리니지2 레볼루션'으로 올해 국내외 누적 매출 1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엔씨소프트와 넥슨도 모바일 게임에서만 각각 1조원과 5000억원 안팎의 매출이 예상된다. 컴투스·게임빌·카카오게임즈도 선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글은 이들 업체에서만 1조원이 훨씬 넘는 수수료 수익을 거둔 것이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12월부터 이례적 흥행몰이를 한 넷마블의 리니지2 레볼루션과 올 하반기 구글플레이 시장 규모를 2배 가까이 늘린 엔씨소프트의 '리니지M'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구글플레이가 한국 게임업체 덕분에 조 단위 수익을 거두고 있지만 운영사인 구글은 해당 서비스의 한국 매출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매출 등 기업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으니 법인세 등 세금 납부도 정확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 사실상 세금 회피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존 리 구글코리아 대표는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구글은 지역별 매출은 발표하지만 국가별로는 따로 공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국 매출을 공개해달라"는 김경진 의원(국민의당)의 질의에 대한 답변이다. 이에 대해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구글은 세금의 근거가 되는 한국 내 매출을 공개하지 않지만 영국에서는 몇 년 전부터 공개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실제 구글의 영국 법인은 작년에 매출 10억3726만파운드(약 1조5220억원)를 기록해 법인세 2976만파운드(약 440억원)를 납부했다는 실적을 공개했다.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도 본사 전체 실적 발표에서 작년 영국에서 매출을 77억8700만달러(약 8조4600억원) 올렸다는 내용을 포함했다. 영국과 관련한 매출은 비교적 자세하게 공개되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ICT 업계서는 구글, 페이스북 등 해외사업자의 경우 국내 규제를 적용하기가 여의치 않아 우리나라 기업이 역차별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올해는 이러한 국내 기업들의 불만이 국정감사 종료 직후 세금, 망사용료 공개를 둘러싼 네이버와 구글 사이의 공개 설전으로 번지기도 했다.
 
정부도 국내 인터넷업체들의 문제제기에 동감하는 모양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르면 이달 말 인터넷 산업의 규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공론화 기구 운영을 시작한다. 정부와 기업, 소비자 단체, 학계 등에서 20명의 인사를 섭외할 예정이다. 구글과 페이스북도 참여한다. 공론화 기구 운영을 시작으로 역차별 해소도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될 전망이다. 
 
정문경 기자 hm0829@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