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의 역사는 7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48년 상공부로 처음 조직이 신설됐다. 이후 1978년에는 동력자원부로 분리됐고, 15년 동안 동력자원부로 지냈다. 문민정부가 들어서면서 1993년 상공자원부로 다시 통합, 이듬해인 1994년 통상산업부로 개편됐다. 이 때 처음 통상 업무를 가져왔지만 1998년 통상 업무가 외교부로 넘어가면서 다시 산업자원부로 축소됐다.
이후에도 산업통상자원부의 변화는 계속 됐다. 정보통신(IT) 시대가 도래하면서 2003년 IT관련 업무를 정보통신부로 넘겨줬다가 2008년 다시 흡수하면서 지식경제부로 확대 개편됐다.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면서는 외교부의 통상교섭본부가 다시 들어와 지금의 산업통상자원부가 됐다.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조직개편이 속속 이뤄지고 있다. '적폐청산' '경제 민주화'라는 기치 아래 공정거래위원회가 재벌 개혁의 첨병에 나서고 있고, 환경부는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시대적 사명을 받들어 조직이 커지는 모양새다.
이와 달리 4대강의 주역이던 국토교통부는 조직을 떼어내는 아픔을 겪는 중이며,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를 부르짖던 미래창조과학부는 어떤 형태로 남게 될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태풍이 오기 전 고요함을 느끼는 곳이 있으니 바로 산업통상자원부다. 앞서 언급했듯이 정부가 바뀔 때마다 조직이 커졌다 작아졌다를 반복했던 산업부는 이번 정부에서도 가장 확실하고 큰 변화가 예고된 상황이다.
외교력을 바탕으로 한 통상 강화 정책에 따라 통상 업무는 다시 외교부로, 중소기업청이 승격되는 중소기업벤처부로는 중기 진흥과 관계된 모든 업무가 이관될 예정이다. 통상 업무와 기업 관련 업무를 제외하면 산업부에 남는 것은 에너지와 자원 뿐이다. 앞으로 담당하게 될 주요 업무만을 따져보면 지금부터 무려 30년 전인 동력자원부로 회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엄청난 변화를 앞두고도 산업부는 의외로 조용하다. 조용하다 못해 평온하다. 끊임 없는 조직 개편에 '이골'이 났을수도 있다. 어쩌면 새 정부의 방향성에 오롯이 동조하고 개편의 필요성을 통감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조직의 축소를 앞두고 있지만 묵묵히 일하는 그들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이해곤 정경부 기자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