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용준 기자] 지난 2013년부터 나눔카·숙박공유 등으로 확산되고 있는 공유경제가 아직은 걸음마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시민 인식 개선과 중장기적인 시장 안착을 위해서는 공유경제 모델 마련과 법제도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9일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공유경제 활성화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3년 공유 촉진 조례를 제정한 이래 서울시 지정 공유기업은 2015년 6월 기준 63개에 달한다. 공유경제는 이미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함께 공유해서 사용하는 협력 소비경제 개념으로, 자동차부터 관광까지 다양한 분야로 뻗어 나가고 있다.
서울시 공유경제 플랫폼 ‘공유허브’는 연간 방문자 수가 150만명을 넘어섰고, 그린카나 쏘카 등 나눔카 서비스는 현재 회원 수 40만명을 돌파했다. 낮에 비어있는 거주자 우선 주차장 공유·아이옷 공유·셰어하우스·남는 빈 방 여행객 공유 등 이들 공유경제로 발생하는 경제적효과만 해도 연간 4840억원에 달할 정도다.
하지만, 서울연구원이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공유경제 개념에 대한 인지도는 39.8%로 아직 40%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공유경제에 대해 모르고 있다는 응답(60.2%)이 알고 있다는 응답보다 1.5배 이상 많았다. 공유경제에 참여한 시민들의 만족도는 63.3%로 비교적 높았지만, 공유경제에 참석하지 못한 시민들이 꼽은 ‘주변에 상품·서비스 공유 기회 부족’, ‘인터넷 거래 신뢰 부족’ 등은 곱씹을만 하다.
다만,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향후 공유경제에 참여할 의향에 대해 묻자 49.2%가 의향이 있다고 답했으며, 13.6%만이 의향이 없다고 응답했다. 참여의향 근거로는 자원 이용비용 절감, 유휴자원 대여소득, 공유경제 가치관 공감, 새로운 친구관계 제공 등을 들었다.
향후 타인과 공유하고 싶은 자원으로는 멘토링·지식, 생활용품, 의류패션용품이 가장 많았으며, 공유받고 싶은 자원은 멘토링·지식, 숙박용빈방, 생활용품 등의 순이었다.
서울연구원은 설문조사에서도 나타나듯이 공유경제에 대한 인지도는 아직 높지 않지만, 새로운 경제개념으로 확산되고 있는 만큼 정책적 확산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고 꼬집었다. 특히, 공유경제 확산 과정에서 새로운 편익과 비용 문제가 대두될 수 있기에 이에 대비해 공유경제통제시스템모델 같은 성공적인 모델이 마련돼야 기존 시장과 충돌을 최소화하고 안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또 기존 법제도로 보호받지 못하는 사업영역이나 효과적인 성장을 거두지 못하는 일을 개선하고자 일시적인 규제 완화, 사회적합의에 따른 제도적 장치 마련 등이 뒤따라야 한다고 조언했다.
카셰어링 그린카가 팝아트 작가인 찰스장과 함께 셰어링카 페인팅 퍼포먼스를 진행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박용준 기자 yjunsay@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진규 온라인뉴스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