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추위가 여전히 기승이긴 하지만 입춘이 지나고 봄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4월은 벚꽃이 화사하게 피어나는 봄기운이 절정에 달하는 달이다. 그러나 최근 증권계에서는 이른바 ‘4월 위기설’이 모락모락 피어나고 있다. 지난 1997년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대형 글로벌 위기로 인해 국내 경제와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경고다.
(1)(3).JPG)
이 4월 위기설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위기론자들은 4월 대내외 악재가 즐비했다고 전한다. 특히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위기는 환율 시장에서 올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이 4월 환율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된다면 환율 시장이 크게 출렁일 수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영향을 받게 된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4월 프랑스 대선에서 프랑스의 트럼프로 불리는 극우진영의 마린 르펜 국민전선 대표가 승리한다면 그동안 잠잠했던 유로존 금융시장마저 요동 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국내에서도 4~5월 대선 가능성에 따른 불안감과 특히 4월 대우조선 회사채 만기 4400억원이 돌아오는 것이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고 이들은 우려한다.
심지어 일각에서는 올해가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10주년을 맞는 해이기 때문에 위기가 반드시 올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4월 국내 증시에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는 이벤트들이 겹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 이슈들이 정말 2008년 금융위기와 같은 대형 위기를 가져올 정도의 파급력을 가진 이슈들일까. 많은 전문가들은 4월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된다고 해도 실제로 국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그리 파괴적이지 않을 것이라고 전한다. 또한 미국 경제의 기초체력 역시 강해진 만큼 미국에서 또 다시 2008년과 같은 금융위기가 올 가능성도 높지 않다고 전한다.
물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은 상반기 내내 이어질 수 있으며 국내에서도 저성장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대선에 따른 불안감이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투자자로써 신중모드를 유지하는 것은 현명한 일이다.
그러나 '4월 위기설'이라는 단정적인 표현이 기정사실화되고 계속 퍼져나가는 것은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주요 외신들도 여러 이슈들에 대한 우려를 보이기는 하지만 '4월 위기론', '4월 금융위기', 혹은 '4월 조정설'과 같은 말을 반복해서 사용하고 있지는 않았다.
모든 이슈를 4월과 연관시킴으로써 실체없는 불안감이 실물경제를 교란시키는 상황이 오지 않도록 경계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우성문 증권부 기자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