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재영기자] 중국 정부가 해외 M&A 규제 강화에 나설 전망이다. ‘중국 굴기’ 기치 아래 해외기업 사냥에 열중하면서 자본유출이 심각한 수준까지 도달했다. 중국이 거대 자본의 공세를 늦추면서 한국의 턱 밑을 겨누던 칼날도 무뎌질지 주목된다.
최순영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27일 ‘최근 중국의 해외 M&A 관련 움직임 및 한국시장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중국 당국은 해외 M&A 정책에 대한 기본적인 변화는 없다고 입장을 표명하고 있으나, 그간 일부 해외 M&A에 대한 우려 및 위험관리 강화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다”면서 “중국은 올해 들어 외환보유액 감소 및 위안화 가치 하락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자본유출의 일부 원인을 제공하는 중국발 해외 M&A의 가파른 상승에 일정 수준 제동을 가할 유인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지난 수년간 중국 기업의 해외 M&A는 가파르게 증가했다. 올해 국경간 M&A 거래규모가 미국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올 1~3분기 세계 M&A 시장의 거래 규모는 2조2000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0.2% 감소했다. 지난해에는 미국 경제의 견고한 회복세에 힘입어 3조9000억달러를 기록하면서 2007년 이후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으나, 올 들어 각종 정치,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미국·유럽·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 M&A 활동이 감소했다.
반대로 중국발 M&A는 올해도 상승세를 유지했다. 1~3분기 해외 M&A 거래규모가 1412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8배 증가했다. 딜로직은 최근 중국의 해외 M&A 실적이 올해 2193억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찍을 것이라고 잠정 집계했다. 반면 미국은 지난해보다 다소 후퇴한 2176억9000만달러에 그치면서 중국에 추월당할 것으로 봤다.
중국의 해외 M&A가 급성장한 배경에는 당국의 적극적인 장려 정책이 있다. 2014년 4월 중국의 주요 정책기관들은 심사 및 승인이 불필요한 해외 M&A 거래규모를 1억달러에서 10억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해외 M&A에 필요한 외환거래도 간편화했다. 당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중국의 외환보유액이 미국 국채 등 소수 자산에 쏠리는 문제를 해소하려는 목적이었다.
하지만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2014년 6월 4조206억달러에서 올해 10월 3조2159억달러로 29개월 사이에 20.0% 감소했다.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도 2015년 6월 6.11위안에서 올 10월 6.77위안으로 17개월 사이 10.7% 절하됐다. 중국의 외환보유액 감소 및 위안화 절하 원인 중 하나로 급격히 늘어난 해외 M&A가 꼽힌다.
아직 중국 당국의 해외 M&A 정책에 대한 공식적이고 구체적 내용들이 발표되지는 않았다. 시장에서는 중국이 초대형 해외 M&A, 해외 부동산 투자 및 핵심사업과 무관한 중소형 M&A 거래를 중점 관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일반적인 해외 M&A 거래도 적합성에 대한 심사 및 승인절차를 과거보다 엄격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켐차이나가 스위스의 세계적인 종자회사 신젠타를 467억달러에 인수하는 등 그간 중국의 거침없는 산업 영토 확장으로 한국은 커다란 위협에 처했다. 중국의 해외 반도체기업 M&A 시도는 미 정부 제동에 연거푸 고배를 마셨으나 언제라도 치킨게임을 유발할 만한 실탄이 장전돼 있다. 중국은 로봇, 3D프린팅,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미래 4차 산업 분야에서도 원천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을 장바구니에 담고 있다.
박종국 해외경제연구소 연구원은 “현재 한국이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중국에 우위이나, 중국 정부 지원의 강도가 강해 가파른 추격이 예상된다”며 “한국도 원천기술을 보유한 해외 우량기업들에 대한 전략적 M&A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재영 기자 leealive@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