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한 자들의 슬픔
2016-03-11 06:00:00 2016-03-11 06:00:00

소아정신과 전문의 김태훈 '사랑샘터' 정신과 원장

일제 시대말 태평양 전쟁을 일으킨 일본은 자국은 물론 우리나라 청년들까지 치열한 전투장으로 내몰았다. 그 중에는 꽃다운 우리나라 소녀들도 다수 포함됐다. 이들은 강제로 전쟁터에 끌려 가 언제 죽을지 모르는 극심한 공포와 압박감에 시달리는 혈기 왕성한 청년들의 성적 노리개로 내던져 졌다. 영화 ‘귀향’은 그때 당시 꽃다운 나이에 희생된 우리 선조들의 슬픈 이야기를 다른 영화다. 

 

영화가 개봉되었을 때 필자는 보지 않을 생각이었다. 어린 여성들이 강제로 성노리개가 되는 장면을 본다는 것 그 자체를 받아들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국민들의 모금으로만 제작이 시작됐고 배우들도 재능기부로 출연하는 등 십시일반 정성이 모였지만 제작비가 모자라 완성되기까지 10년 세월이 걸렸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생각을 바꿨다.

 

사람이라면 태어나서 자란 고향이 있다. 비록 척박한 환경일지라도 그곳은 비할 데 없이 편안한 마음의 안식처다. 우리 나라는 일제 시대에 강제 징용되어 끌려가거나 해방 후 남북이 분단돼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실향민들이 많이 생겨났다. 그들은 그 난리통에도 가족 또는 같은 처지의 실향민끼리 모여 낯선 곳을 터전삼아 서로 위로하면서 살 수 있었다. 그러나 위안부 피해자 대부분은 그러지 못했다. 심지어 가족들조차 만날 수 없었다. 과거를 묻고 결혼했지만 평탄하지 못했다. 사람들은 어렵고 힘든 일들이 있을 때 본능적으로 서로 의지하고 감정을 나누면서 아픔을 치유한다. 그러나 위안부 피해자들에게는 이런 정서적 교감조차 허용되지 않았다.

 

여성은 남성과 달라서 2차 성징이 나타나는 사춘기 시기의 성적 수치심은 매우 치명적이다. 이유는 신체적으로는 가임기지만 정신적 성장이 이를 따라주지 않는 모순된 상황이기 때문이며 이로 인한 인격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시기의 성적 학대가 피해자에게 남기는 상처의 크기를 더한다.

 

자신의 힘으로 이겨낼 수 없고 도망조차 갈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되면 대개 스스로 자신을 포기하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부르고 결국 씻을 수 없는 영구적인 마음의 상처로 남게 되는 것이다. 정신의학적으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맞게 되면 치욕스러운 기억이 끊임없이 자신을 괴롭히고 그것이 악몽이 되어 계속 반복된다. 또 현실에서도 이와 비슷한 상황에 놓이게 되면 그 때 경험했었던 극심한 공포감을 느끼게 된다. 본인이 어떻게든 이런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하지만 극심한 불안감은 본인 의사와 관계없이 계속된다. 미성년자를 상대로 한 성적 학대 범죄를 특별법으로 정해 엄히 처벌하는 것도 이 같은 사실을 반영한 것이다.

 

위안부 피해자들은 강제적인 성적 학대와 그로 인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받고 있음에도 평생 자신의 고통을 오롯이 혼자서 감내해야 했다. 그 고통과 어려움은 우리로서는 상상할 수도 없을 것이다. 더구나 그 고통과 아픔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영화 귀향에서는 위안부 피해자가 난치병에 걸려 시한부 선고를 받은 상황에서 고향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어렸을 적 그가 알던 고향은 없어져 마음의 평화를 찾지 못했다. 현재 생존해 있는 위안부 피해자들도 다르지 않다. 우리가 이들을 진정한 고향으로 ‘귀향’시켜야 한다. 그것은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