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칼럼)코넥스 부진이 주는 교훈
2015-11-09 06:00:00 2015-11-09 06:00:00
코넥스(Korea New Exchange)는 박근혜 정부의 정책이념인 창조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2013년 7월 설립한 새로운 주식거래 시장이다. 코스닥 상장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이 상장을 통해 자본을 조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기 위해 만들어졌다. 2년 전 시장설립 초기에 상장기업이 적고 거래가 부진해 천덕꾸러기 신세였던 코넥스는 금융당국의 전폭적인 지원과 규제완화를 통해 한동안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거래규모가 눈에 띄게 줄어든 가운데 상장기업 숫자도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코넥스 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14억4000만원으로 가장 많았던 7월 거래대금(33억4000만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일평균 거래량 역시 7월 23만주에서 지난달 14만2000주로 크게 감소했다. 올해 코넥스 신규 상장사도 당초 한국거래소 목표였던 100개의 3분의 1 수준인 31개에 불과한 상태다.
 
증권가에서는 코넥스 거래가 짧은 기간에 급속도로 부진해진 원인을 중소형주 거래위축과 상장기업들에 대한 정보부족 때문으로 보고 있다. 코넥스에서 비중이 큰 바이오주 인기가 감소한데다 사업보고서를 1년에 한 번만 제출하도록 돼 있어 투자결정을 위해 필요한 기업정보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원인은 시장의 기능에 역행하는 정책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코넥스 종목은 워낙 거래량이 적어 주가가 급등한다고 해도 투자자 입장에서 큰 의미를 갖기 어렵다”며 “주식가격이 합리적으로 움직인다고 보기 힘들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상장목표를 채우기 위해 코스닥에 상장해도 될 회사를 코넥스에 먼저 상장시킨 뒤 이전상장하도록 유도하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시장의 제 기능을 찾아주기보다는 정책적 성과에 집착하는 당국의 태도에 문제가 있다는 비판이다.
 
수요자들이 필요로 하지 않는 시장을 조성해 갖은 처방을 다 써봤지만 결국 수요와 공급에 의해 움직이는 시장을 인위적으로 좌우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당국은 코넥스를 통해 창조경제의 성과를 앞세우고 싶겠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유망 기업이 어느 시장에 속한 것인지는 그리 중요하지 않을 것이다. ‘코넥스 무용론’이 또다시 불거지는 이유이다.
 
정경진 증권부장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