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하순,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 ‘대형사고’가 터졌다. 이른바 ‘폭스바겐 디젤 조작 사건’이다. 이후 한 달 가량 시간이 지났지만 파장이 수습되기는커녕 점차 확산되는 분위기다. 꼼수를 부린 폭스바겐은 기업가치가 폭락하고 리콜 및 벌금과 소송으로 천문학적인 비용을 감당해야 할 처지에 놓이며 창사이래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다. 수출에 의존하는 독일 경제의 타격도 불가피해 보인다. 자동차 산업의 지각 변동 역시 피할 수 없는 과제다. 그야말로 폭스바겐 스캔들의 후폭풍은 메가톤급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폭스바겐 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말한다. 배출가스 검사 시 데이터 조작은 자동차 업계 전반에 널리 퍼져 있는 수십 년 된 관행이라는 것이다. 미국 뉴욕타임스도 “이번 사태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며, “폭스바겐 뿐만 아니라 BMW나 메르세데스벤츠, 제너럴모터스(GM)도 비슷한 방법을 썼다”고 밝혔다. 그만큼 대부분의 국가와 자동차회사들이 공공연하게 알고 있지만 쉬쉬하던 사실을 미국에서 문제화했다.
미국은 왜 유독 이시기에 어떤 필요에 의해서 이 사건을 터트렸을까.
현재 자동차 산업은 친환경, 고연비의 경쟁 속에 디젤이 가장 앞서나가고 있다. 특히 그 디젤엔진에 힘입어 폭스바겐은 올 상반기 도요타와 GM을 제치고 세계 1위가 됐다. 이에 자국 자동차 회사를 지원하기 위해 미국 정부가 의도적으로 사태를 키웠을 가능성이다.
또 다른 시각은 미국 IT와 전기차업계의 성장 배경을 만들어주기 위해서다. 미국은 이미 GM과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하고 있고 여기에 애플과 구글까지 합세했다. 이에 따라 가솔린에서 디젤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전기차로 자동차산업을 재편시키기 위해서다.
셰일가스 때문으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미국 석유화학 산업은 셰일 혁명의 가장 큰 수혜자이다. 하지만 최근 저유가가 지속되면서 생산단가가 높은 셰일가스 업체들은 생산량 급감으로 실적 부진에 시달리며 절반 이상이 연내 도산하거나 매각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가능성을 뒷받침할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 그리고 폭스바겐이 사기 행각을 벌여왔다는 것과 이것은 범죄라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그래도 이번 폭스바겐 사태가 지난 2009년 렉서스 급발진 사태와 닮은꼴이라는 점 등을 생각해 본다면 세계 1위 브랜드가 되면 꼭 미국시장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공통점은 의문점을 남긴다.
김선영 국제팀장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