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칼럼)메르스에 묻힌 큰 사건들
2015-06-15 18:20:04 2015-06-15 18:20:04
중동발 메르스 사태가 불법대선자금 문제를 비롯해 큰 정치적 사건들을 블랙홀처럼 집어삼키고 있다.
 
'성완종 리스트'에 오른 이완구 전 총리, 홍준표 경남지사 등 8인은 오히려 메르스 사태의 최대 수혜자가 됐다. 메르스 때문에 여론의 관심이 분산되는 효과를 톡톡히 본 셈이다.
 
국민적 관심사였던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 청문회도 끝나고 성완종 리스트 수사도 마무리 수순밟기에 들어갔다. 검찰 수사는 성 전 회장 주변에만 머문 채 좀처럼 핵심 의혹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있어 살아 있는 권력 비리에 대한 단죄라는 기대는 물 건너 가는 분위기다. 검찰은 "비밀장부를 찾지 못했다"며 몸통은 건드리지도 못한 채 성 전 회장 측근 2명만 구속한 상태다.
 
한 동안 온 나라를 떠들썩하게 하고 한국정치의 민낯을 여실히 보여줬던 사건이 메르스라는 대재앙을 만나 결국 묻혀가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정말 이대로 끝내는 게 맞을까? 이미 오래된 얘기 같지만, 이 사건은 불법 대선자금과권력 실세들의 불법 정치자금 등 우리 사회의 거대한 비리구조를 드러내 여야는 물론 청와대까지 근본적 개혁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공언했던 사안이다.
 
그럼에도 검찰이 국민들이 메르스 불안에 휩싸인 사이 서둘러 수사를 종결지으려 한다면, 또다시 특검의 필요성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황교안 총리 후보자 문제도 이대로 넘어갈 수 없기는 마찬가지다.
 
황 후보자 청문회에서는 특별사면 자문문제와 군 면제 의혹, 부실한 자료 제출 등 중대한 의혹들이 불거졌지만 해소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
 
‘불법적인 일은 없었다’, ‘청문회에서 모두 밝히겠다’고 황 후보자는 호언장담했다. 하지만 그는 정작 청문회에서는 각종 의혹에 대해 자료제출을 회피하고 버티기로 일관했다. 이번 청문회가 인사청문제도를 도입 한 이후 최악의깜깜이 청문회였다는 평가마저 나왔다. 오죽하면 ‘제2의 황교안 방지법’ 얘기가 나오겠는가.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여당이 단독으로 채택하면서 총리 후보자 인준은 일단 가시화됐다. 야권도 대세를 뒤집기 어려워 보인다. 우리 정치권이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어떻게 끊어내고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을지도 여전히 어려운 숙제로 남아 있다.
 
박민호 국회팀장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