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칼럼)뒷말 무성 면세점 입찰, 평가 투명성 높여라
2015-06-04 16:56:58 2015-06-04 17:14:05
"중국 관광객(유커)이 가장 많이 몰리는 지역에 신청서를 낸 A사가 내정됐다는 이야기가 나돌고 있다. 이때문에 방계 회사인 B사는 탈락될 거란 소문이다." "C사는 특허(사업권) 획득을 위한 전방위 로비를 벌이며 벌써 평가위원 선정에 관여하기 위해 나섰다고 하더라"
 
벌써 뒷말이 무성하다. 15년만에 찾아온 서울 시내면세점 특허(사업권) 입찰이 끝난 지난 1일을 전후해 유통업계에는 무수한 카더라 통신이 난무하고 있다.
 
대기업 3.5대 1, 중소·중견기업 14대1에 이를 만큼 경쟁이 치열하다보니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이야기들이 정제되지 않고 퍼지고 있다.
 
특히 연간 10조원에 달하는 서울 시내면세점 시장을 통해 신성장동력을 찾으려는 재벌 오너 2·3세들이 경영능력과 자존심을 걸고 각축을 벌이면서 이같은 현상은 심화되고 있다.
 
실무진 입장에서는 오너 의지가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 이번 특허를 따내야 한다는 부담감에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를 만들어 경쟁사를 비방하고 있다.
 
소문 뿐 아니다. 현대백화점그룹은 면세점 영업이익의 20% 이상, 이랜드는 순이익의 10%를 사회에 기부하겠다고 언론을 통해 밝히는 등 여론전도 심상찮다.
 
옳고 그름을 떠나 이같은 현상이 벌어지는 가장 큰 이유는 입찰을 주관하는 관세청이 공개한 평가 기준이 세부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면세점은 특혜사업’이라는 고정관념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상황에서 5개 항목(12개 세부사항)만으로 공정한 평가가 가능할까라는 기업의 의구심이 카터라 통신과 여론전을 만들고 있다.
 
한발 더 나아가 여론전을 통해 아직 정해지지 않은 심사위원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면 자신들에게 유리할 수도 있겠다는 절박한 심정이 복마전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후폭풍이 우려되는 대목이다. 지금이라도 바꿔야 한다.
 
기업들도 각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요구한다. 관광객 몇 명을 유치하면 몇 점을 줄 것이고 그렇지 못할 경우 몇 점을 줄 것인지, 영업이익 대비 기부금 비율이 몇 퍼센트를 넘기면 만점을 주고 그렇지 않을 경우 최소 점수가 몇 점인지 등등 디테일하게 점수표를 공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면세점 입찰은 5년마다 돌아온다. 가장 가깝게는 올해 연말 서울 3개 사업자에 대한 재심사가 있다. 기업들의 요구에 투명하고 합리적인 세부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공개할 때다.
 
정헌철 생활부장
hunchul@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