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랍다. 대통령의 지독한 실정을 새누리당은 가볍게 극복하고 있다.
친박 대 비박으로 전개되던 계파 구도도 잠시다. 다시 정책으로 전환하고 있다. ‘증세 없는 복지’를 일축하고, 보수의 금기어인 증세마저 꺼내들었다. 김무성 대표가 미온적이지만 유승민 원내대표의 결기는 간단치 않다.
당내 소장파가 힘을 더할 경우 증세를 통한 실질적 복지 확대로 갈 수 있다. 출발점은 법인세 인상 등 이른바 부자 증세다. 주도권은 청와대에서 당으로 옮겨왔다.
지겹다. 또 다시 친노 논쟁이다.
‘저질’이라는 막말까지 오갔다. 멱살만 안 잡았을 뿐 수준은 시정잡배 싸움과 다를 바 없다. 비전과 정책은 그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누가 당권을 잡든 계파 간, 지역 간 대립은 이어질 수밖에 없게 됐다.
김대중·노무현의 이름은 내분으로 더럽혀졌다. 네 탓 공방에 제1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의 전당대회는 민심으로부터 철저히 외면당했다. 대여 투쟁의 동력도 실종됐다. 자승자박이다.
지난 대선을 관통한 시대적 요구는 경제민주화였다.
소득 불평등에 따른 양극화의 심화가 빚어낸 필연이었다. 돈도, 지위도, 권력도 오직 ‘가진 자’에게만 쏠렸다. 재벌개혁과 상생, 복지에 대한 요구가 봇물처럼 터져 나왔다. 놀랍게도 주도권은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후보가 쥐었다.
산업화에 대한 그리움과 미래에 대한 비전이 더해지면서 그는 아버지가 주인이던 청와대 입성에 성공했다. 아젠다를 빼앗긴 야권은 속수무책 무너져 내렸다. 책임론만 오갔다. 다 이겼다던 2012년 총선과 대선은 그렇게 막을 내렸다.
진보하는 보수와 과거에 갇혀 퇴보하는 진보. 어쩌면 내년 총선은 그 결과표가 이미 나와 있는지도 모른다. 과정은 결과의 지표다. 그리고 그 과정은 여야가 지금 극명하게 엇갈린 색깔로 그려나가고 있다.
김기성 산업1부장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