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종용기자] 사상 초유의 경영진 중징계 통보를 받은
KB금융(105560)지주는 내부적으로 혼란에 빠진 한편, 결국에는 징계 수위가 낮아지지 않겠나는 기대감도 엿보인다.
불분명한 책임 소재에 대해 적극적으로 소명하면 중징계와 그에 따른 경영진 중도퇴임은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날 임영록 회장과 이건호 행장이 금융당국으로부터 중징계 통보를 받은 KB금융은 앞으로 적극 소명하는 절차를 통해 징계수위를 최대한 낮추는겠다는 방침이다.
금융감독원이 꼽고 있는 임 회장 핵심 중징계 사유는 카드사 정보유출 사건이다.
하지만 KB금융지주는 국민카드 분사 당시 고객정보관리인으로서의 임 회장에 대한 책임 소재에 대해서도 사실관계가 엇갈리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임 회장이 고객정보 관리의 최고 실무책임자인 고객정보관리인 업무를 맡게 된 것은 2011년 3월26일이지만, 국민카드 분사는 이보다 빠른 같은 달 2일이었던 만큼 사장으로서 포괄적인 책임은 감수해야 하지만 핵심 당사자로 보는 것은 억울하다는 시각도 있다.
KB금융 관계자는 "국민카드가 분사한 것은 2011년 3월 2일이고 임 회장(당시 사장)이 어윤대 회장으로부터 고객정보관리인 업무를 넘겨받은 시점은 3월 26일로 나중 일이다"고 해명했다.
국민카드 분사 당시 고객정보 이전과 관련해 KB금융이 금융위원회의 명확한 승인을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말이 많다. 피제재자 입장에서는 당국이 제대로 검토하지 않고 승인해주지 않았냐며 징계를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지난 정권 시절 금융권 4대 천황으로 꼽혔던 지주 회장들이 중징계를 피한 사례들도 KB 내부의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얼마 전 당국은 김승유 전
하나금융지주(086790) 회장이 미래저축은행에 부실투자를 지시한 정황을 확보하고도 명확한 증거를 잡지 못해 경징계를 내리는 데 그쳤다. 어윤대 전 KB 회장도 ISS보고서 사태 관련 감독책임에 대한 소극적인 해석으로 경징계를 내렸다.
이번 국민은행 주 전산 시스템 교체 관련 내분이 국민은행 내부의 사건인 탓에 임 회장이 직접적인 당사자가 아니고 이건호 행장 역시 전산기 교체 과정의 오류, 왜곡을 뒤늦게라도 바로 잡기 위한 경영판단이었다는 동정론도 제기된다.
이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CEO에게 사실상의 해임 통보를 강행할 경우 KB금융의 심각한 경영공백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관치금융 논란이 다시 고개를 들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그동안 KB금융 사태를 지켜보면 회장과 은행장에게도 책임은 있겠지만 직접 책임은 적은데도 현직에 있다는 이유로 징계를 포함 한 것으로 안다”며 “과거 문제까지 현 경영진에게 묻는다면 도대체 누가 최고경영직을 맡으려고 하겠냐” 고 말했다.
금융당국도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취임 1년도 되지 않은 민간금융사 CEO들에게 사실상 해임통보나 다름없는 문책경고를 내린다면 경영공백을 초래하게 만든 당사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고재인 자본시장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