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김병윤기자] 올 들어 감자를 결정하는 코스닥 상장사가 급증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감자를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할 계획이지만 오히려 줄어든 자기자본이 상장 유지 요건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코스닥사 감자 관련 공시는 총 14건(11개사)으로 전년 동기 4건(2개사)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감자 결정 후 진행 중인 것과 연말까지 6개월 이상의 남은 시간을 고려하면 감자 관련 공시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올해도 예년과 마찬가지로 재무구조 개선 목적의 감자가 대부분이다.
감자 관련 공시 11개 기업 중
유진기업(023410)을 제외한 10개 상장사들이 재무구조 개선 목적으로 감자를 결정했다.
이는 자본잠식률이 50% 이상이 되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고 그 후에 자본잠식률이 또 다시50%를 넘으면 퇴출되는 규정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이다.
기업들은 감자를 통해 유입된 자금으로 결손금을 채워 자본잠식률을 낮출 수 있다.
하지만 자기자본을 줄여 자본잠식의 위기를 넘긴 기업들은 또 다른 상장폐지 요건에 직면하게 된다.
거래소 규정에 따르면 최근 사업연도 자기자본(10억원 이상)의 50%를 초과하는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최근 3년간 두 번 이상 발생한 경우 관리종목으로 지정된다.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후에도 자기자본 50%이상(10억원이상)의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발생한 경우 퇴출된다.
이같은 규정에 따라 감자를 실시한 기업들은 줄어든 자기자본 만큼 향후 손실도 줄여야 하는 부담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올해 감자 공시 기업 11곳 중 8곳의 감자 비율이 80% 이상인데다 11개 기업 모두 최근 3년 중 두 번의 적자를 기록했고 4개 상장사는 3년 모두 순손실을 나타낼 정도로 상황은 녹록치 않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감자 공시 기업에 투자를 할 때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 금융업 관계자는 "경영 성과 외에는 재무구조 개선의 해결책이 되기 힘들다"며 "투자자들은 감자 공시가 나왔을 때 해당 기업의 감자 목적과 최근 실적을 잘 살펴보라"고 조언했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