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진아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4%를 기록, 9개월 연속 1%대에 머물렀다. 하지만 서민 생활과 밀접한 채소값, 전기·가스·수도요금, 집세 등이 들썩이면서 전달보다 물가 상승폭이 커졌다. 하반기 차츰 물가가 오를 조짐이 보이면서 서민물가 부담은 커진 양상이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 상승하는데 그쳤다. 지난해 11월(1.6%) 이후 9개월째 1%대에 머무르고 있다.
하지만 한 달 전인 6월보다 0.4%포인트 오르면서 물가가 상승세로 전환된 모습이다. 소비자물가는 올 1월 1.5%를 기록한 뒤 상승폭을 줄이면서 5월과 6월 1.0%까지 떨어졌다가 7월 가파르게 상승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은 서민 생활과 직결된 석유류·개인서비스·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이 주도했다. 특히 집세, 채소값 등이 크게 올랐다.
지난달 전세와 월세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각각 3.1%, 1.5% 오르면서 집세가 2.6% 상승했다. 전기·수도·가스 역시 전년동월대비 3.8% 상승하면서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개인서비스도 공동주택관리비가 8.2%, 고등학생 학원비가 5.8%, 중학생 학원비가 3.8% 등 각각 오르면서 1년 전보다 1.2% 상승했다.
또 장마 영향으로 채소값이 크게 오르면서 신선채소 물가는 전달보다는 3.3%, 지난해 같은 달보다는 3.0%나 각각 뛰었다. 농축수산물도 전월대비 1.1%, 전년동월대비 0.4% 각각 상승했다.
특히 밥상에 자주 오르는 오이와 호박의 경우, 전년동월대비 65%, 58.7%나 오르는 등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져 서민 물가 부담이 커졌다.
여기에 지난 3월 무상보육 확대로 유치원 납입금과 보육시설 이용료 등의 부담이 낮아진 기저효과를 감안하면, 실제 체감하는 물가상승률은 실제 지수보다는 더 높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7월 소비자물가는 석유류·개인서비스 요금·농축수산물 가격상승이 주요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전년동월대비 상승폭이 커진 이유로는 지난해 7월의 낮은 물가상승에 따른 기저효과에도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8월 이후 장마가 종료되면 폭염 및 태풍 등 또다른 기상악화에 따른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과 국제 유가 불확실성 등 물가 불안요인도 상존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러한 물가 불안요인에 대해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해 서민생활 안정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