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임애신기자] 우리나라가 조선산업 역량을 바탕으로 해양 플랜트 산업 강국에 도전한다.
해양 플랜트 수주액을 오는 2020년까지 800억달러로 3배 이상 늘리고, 엔지니어링·기자재 등 국내 수행비율도 60%로 높일 예정이다.
지식경제부는 9일 부산 한국해양대학교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121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해양플랜트산업 발전방안'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세계 에너지 수요가 상승하고 고유가가 지속됨에 따라 해양플랜트 시장은 2010년 1400억달러에서 2020년 3200억달러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기본설계에 활용할 광구가 없어 엔지니어링을 수행할 수 없고, 기자재 선정 권한을 가진 엔지니어링을 수행하지 못해 기자재 국산화율이 20% 수준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지경부는 국산 기자재 경쟁력 확대를 위해 핵심 기자재 위주로 100대 전략품목을 선정하기로 했다.
요소기자재는 특수 소재와 가공기술 위주로, 핵심기자재는 IT기술의 활용과 함께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패키지형 모듈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전문 엔지니어링의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조선분야 설계 인력을 해양 플랜트로 전환하는 것을 지원한다. 엔지니어링 대학원 등을 통해 해양플랜트 석·박사 학위과정도 확대한다.
또 올 7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관련 기술개발과제를 통해 해저·해상 통합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기술개발 결과물을 확보하거나 확보를 추진 중인 광구에 활용해 프로젝트 개발에서 엔지니어링과 기자재 개발에 이르는 종합 역량을 확보할 방침이다.
산업 생태계 인프라도 조성한다. ▲울산(건조·모듈단위 제작) ▲부산(부품단위 기자재 생산·기술교류·인력공급) ▲경남(건조·기자재 시험인증) ▲전남(해양플랜트 지원선) ▲대전· 서울(엔지니어링·인력) 등 특화된 분업구조를 통해 가치 사슬을 완성하기로 했다.
지경부는 "해양플랜트 산업 규모가 성장함에 따라 약 10만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김기성 편집국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