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당 2천만원 시대…고삐 풀린 분양가, 더 오른다
전문가 "내년 5~10% 추가 상승"…토지값·인건비 부담 지속
2025-11-19 14:58:56 2025-11-19 16:09:55
 
[뉴스토마토 홍연 기자] 지난달 기준 전국 민간아파트의 3.3㎡(1평)당 평균 분양가격이 2000만원을 육박했습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전국 민간아파트 ㎡당 평균 분양가격은 605만2000원으로 전월 대비 2.47%, 전년 동월 대비 5.09% 상승했습니다. 이를 3.3㎡로 환산하면 약 1997만원으로 2000만원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습니다. 
 
서울의 ㎡당 평균 분양가는 1422만6000원으로 전월 대비 3.25% 올랐습니다. 평당으로 환산하면 4695만원 수준입니다. 서초구 반포래미안트리니원, 동작구 힐스테이트 이수역 센트럴, 성남시 분당구 더샵 분당티에르원 등 고가 단지가 잇달아 분양되면서 전체 평균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됩니다. 
 
(그래프=뉴스토마토)
서울 시내 부동산 모습. (사진=뉴시스)
 
전문가들 토지 가격, 원자재·인건비, 건설안전비용 등이 오르며 분양가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내년 전국 기준으로 평당 2200만~2300만원 수준, 서울은 5000만원대가 지속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는 "현재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자금조달의 어려움, 원자재·인건비 상승, 건설안전비용 상승 등을 고려하면 당분간 분양가 인하가 쉽지 않다"며 "현 고분양가가 당분간 뉴노멀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공급 확대를 위해서는 민간 분양가상한제를 강제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 고분양가 현상은 기존 주택시장에도 영향을 미쳐 5년 이하 신축 선호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는 구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공사비와 금리 외에 토지가격 상승을 주요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그는 "서울과 수도권의 토지가격이 굉장히 빠르게 올라가면서 분양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다"며 "지방의 경우 사업 리스크가 있어 수익을 실현할 수 있는 곳에서 더 벌어야 하는 구조도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습니다. 내년 전망에 대해서는 "주택가격이 강하게 올라가는 지역은 5~10% 상승할 것으로 보이고, 지방은 가격이 받쳐주지 못해 보합세를 보일 것"이라며 "공사비나 금리는 일정 부분 오르는 추세라 토지가격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박지민 월용청약연구소 대표는 "최근 5년간 분양가가 두 배 올랐기 때문에 앞으로는 5% 내외로 상승 폭이 둔화될 것"이라며 "짧은 기간에 가파르게 상승하다 보니 잠시 숨고르기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과도하게 이익을 책정하던 건설사들이 김포 풍무역세권 사례처럼 시장 분위기에 맞지 않아 분양가를 낮추기도 한다"며 "시장 개입보다는 건설사 스스로 분양가를 조정하는 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동현 하나은행 부동산자문센터장은 "건설사 입장에서 손해를 보고 사업을 할 수 없고, 땅값도 떨어지지 않는 상황"이라며 "인플레이션으로 분양가는 지속적으로 올라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분양가가 비싸다는 느낌이 부각되는 건 경기가 안 좋고 사람들의 자금 여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분양가가 올라가기 때문"이라며 "호경기였다면 이런 논란이 나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이 센터장은 "입지에 따라 희비가 갈리는데 실수요가 받쳐주는 한강벨트 등 입지 좋은 곳에만 수요가 몰리는 양극화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했습니다. 
 
분양가 안정을 위한 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전문가마다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함영진 랩장은 "환율 안정이 필요하고 표준계약서 정밀화가 요구된다"고 제안했습니다. 송승현 대표는 "분양가격 비용의 투명성이 확보돼야 한다"며 "기술적 부분의 자체적인 혁신적 아이디어가 추상적인 가격으로 형성돼 있어 이런 부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지민 대표는 "분양가상한제를 전면 확대하거나 폐지해야 한다"며 "일부 지역에만 적용되다 보니 강남에 청약이 몰리는 부작용이 발생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분양가상한제가 전면 적용되면 분당이나 이수역 같은 곳도 18억원 수준에서 분양할 수 있어 청약 수요가 분산되고 거래량이 줄어 시장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동현 센터장은 "채권입찰제 등은 일시적 효과에 그칠 수밖에 없고, 궁극적으로는 공급을 늘리는 게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분양가상한제는 필요한 곳에 적용하는 건 나쁘지 않지만, 시장 원리에 과하게 개입하면 공급 위축을 가져올 수 있다"며 "적정 수준의 이익을 보장하되 공급을 활성화시키는 방향으로 운영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고분양가 시대에 무주택 실수요자들의 선택지에 대해 박지민 대표는 "수원 당수지구 등 분양가가 저렴한 곳을 노리거나 3기 신도시, 검단·운정 등 2기 신도시 잔여 물량을 권역별로 자금에 맞춰 선택하면 된다"고 조언했습니다. 그는 "강남이나 비싼 곳에만 관심이 집중되면서 박탈감을 느끼는 분들이 많은데, 실제 자신의 자산과 지역에 맞는 선택지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홍연 기자 hongyeon1224@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강영관 산업2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지난 뉴스레터 보기 구독하기
관련기사
0/300

뉴스리듬

    이 시간 주요 뉴스

      함께 볼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