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효진 기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9일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발생 후 75시간이 지났음에도 추가 생존자를 구조하지 못해 가족과 국민께 사고 수습 책임자로서 송구스럽다"라고 밝혔습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9일 울산화력발전소에서 진행된 브리핑에서 "붕괴 사고 발생 후 75시간 후에도 추가 생존자를 구조하지 못해 송구하다"라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중앙사고수습본부 공동본부장인 김 장관이 이날 울산화력발전소에서 진행된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지난 6일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보일러 타워 붕괴로 매몰된 7명 중 현재까지 3명의 시신이 수습됐습니다. 남은 4명 중 2명은 사망 추정이며 2명은 실종 상태입니다.
김 장관은 "소방당국은 여러 위험 요소에도 불구하고 사투를 벌이면서 매몰된 구조자들을 구조하기 위해 노력해왔다"며 "이번 사고 발생에는 복합적인 요인이 있었고, 구조 과정에도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붕괴한 5호기 보일러 타워 좌우에 추가 붕괴 위험이 있는 4·6호기 보일러 타워가 위치해 대규모 장비나 인력 투입 등에 어려움이 있었고, 구조 작업에 속도를 내기가 어려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유가족들과 협의해 붕괴 위험이 있는 4·6호기를 해체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김 장관은 "해체를 위한 발파 자체가 매우 위험한 작업이기 때문에, 해체 작업 과정에서 병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고 전문가들과 다각도에서 심도 있게 관련 사항들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구체적인 발파 방법이나 일정은 미정입니다. 김 장관은 "기술적·구조적 진단 결과 4·6호기를 동시 해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판단하지만 위험 요소가 있기 때문에 마지막까지 숙의할 것"이라며 "(일정을) 아직 특정하지 못했으며, 사전 안전 조치가 완료됐다고 판단하는 시점에 국민에게 보고하겠다"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모든 부처와 민간 전문가, 산하 기관, 피해자 가족, 울산을 지역구로 둔 국회의원과 지방 정부 모두가 한마음으로 매몰된 노동자분들의 구조에 나서고 있다"라며 "하나 된 마음으로 안전하고 더 신속한 구조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약속했습니다.
이효진 기자 dawnj789@etomato.com
이 기사는 뉴스토마토 보도준칙 및 윤리강령에 따라 최신형 정치정책부장이 최종 확인·수정했습니다.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